연결 단자 및 이를 이용한 커넥터(CONNECTION TERMINAL AND CONNECTOR PROVIDED THEREWITH)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15년01월14일
(11) 등록번호 10-1482563
(24) 등록일자 2015년01월08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H01R 13/33 (2006.01) H01R 24/38 (2011.01)
(21) 출원번호 10-2013-0087806
(22) 출원일자 2013년07월25일
심사청구일자 2013년07월25일
(65) 공개번호 10-2014-0019225
(43) 공개일자 2014년02월14일
(30) 우선권주장
JP-P-2012-174220 2012년08월06일 일본(JP)
(56) 선행기술조사문헌
KR1020120057557 A
US6022248 A
(73) 특허권자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일본 교토후 교토시 시모교쿠 시오코우지도오리
호리카와히가시이루 미나미후도우도우쵸 801
(72) 발명자
사카이, 타카히로
일본 600-8530 교토 교토시 시모교쿠 시오코지도
리 호리카와히가시이루 미나미후도도쵸 801 오므
론 가부시키가이샤 내
테라니시, 히로타다
일본 600-8530 교토 교토시 시모교쿠 시오코지도
리 호리카와히가시이루 미나미후도도쵸 801 오므
론 가부시키가이샤 내
(74) 대리인
박영우
전체 청구항 수 : 총 6 항 심사관 : 안병건
(54) 발명의 명칭 연결 단자 및 이를 이용한 커넥터
(57) 요 약
가동 접점부의 변위량의 설계가 용이하며, 특히 과부하에 근거한 가동 접점부의 충돌에 의한 소성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연결 단자 및 이를 이용한 커넥터가 제공된다. 이를 위하여, 하우징(10)의 접점 홀(16)의 외부에서 가압
이 가능하도록 돌출되는 가동 접점부(38)를 갖는 연결 단자(30)가 개시된다. 특히, 강체 연결부(36)를 통해서 연
속되는 제1 만곡부(35) 및 제2 만곡부(37)를 가지며, 제1 만곡부(35)의 자유 단부에 고정부(31)를 마련하는
한편, 제2 만곡부(37)의 자유 단부에 가동 접점부(38)를 마련하면서, 동시에 강체 연결부(36)를 향해 변위하는
맞닿음부(39)를 가동 접점부(38)의 제2 만곡부(37)와는 반대측에 배치한다.
대 표 도 - 도4a
등록특허 10-1482563
- 1 -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하우징의 접점 홀의 외부에서 가압이 가능하도록 돌출되는 가동 접점부를 갖는 연결 단자에 있어서,
강체 연결부를 개재하여 연속되는 제1 만곡부 및 제2 만곡부를 가지며,
상기 제1 만곡부의 자유 단부에 고정부를 마련하는 한편, 상기 제2 만곡부의 자유 단부에 가동 접점부를 마련하
고, 상기 강체 연결부를 향해 변위하는 맞닿음부를 상기 가동 접점부의 상기 제2 만곡부와는 반대측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단자.
청구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만곡부 및 상기 제2 만곡부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쪽을 복수의 만곡되는 연장부들
로 형성하고, 상기 연장부들의 사이에 만곡되는 슬릿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단자.
청구항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맞닿음부가 상기 강체 연결부에 맞닿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단자.
청구항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강체 연결부의 외향면에 상기 맞닿음부에 맞닿을 수 있는 맞닿음용 돌기를 돌출되게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연결 단자.
청구항 5
제 3 항에 기재된 연결 단자의 가동 접점부를 상기 하우징에 마련한 접점 홀로부터 출납이 가능하도록 돌출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청구항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 둘레부에 마련한 위치 결정부에 상기 연결 단자의 맞닿음부를 맞닿게 하
여 위치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명 세 서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연결 단자, 예를 들면, 하우징에 탑재되어 커넥터를 구성할 뿐 아니라 기판의 측단면에 직접 실장하[0001]
여 사용할 수 있는 연결 단자에 관한 것이다.
배 경 기 술
종래에는, 연결 단자로서, 예를 들면, 절연 재료로 이루어지는 케이스에서 브릿지 형상으로 돌출되는 접촉부를[0002]
구비한 도체로 이루어지는 콘택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와 상기 접촉부 사이의 공간을 봉하는 덮개 부재를 상기
콘택에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콘택이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선행 기술 문헌[0003]
[특허 문헌][0004]
특허 문헌 1: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09-35797호[0005]
발명의 내용
등록특허 10-1482563
- 2 -
해결하려는 과제
하지만, 상술한 콘택에서는, 이의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 장의 길이가 긴 도전성 판재를 절곡하여 형성[0006]
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복수의 만곡부들을 갖는 커넥터라면 접촉부(3)의 변위량의 조정이 용이하지 않아, 설
계상으로 접점 위치의 제어가 용이하지 않다. 그 결과, 접촉부(3)가 기부(4)에 충돌하여 소성 변형이 생기기 쉽
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 단자는, 가동 접점부의 변위량의 설계가 용이하며, 특히, 과부하에 근거하는 가동 접점부[0007]
의 충돌에 의한 소성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연결 단자 및 이를 이용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과제의 해결 수단
본 발명에 따른 연결 단자는,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하우징의 접점 홀의 외부에서 가압이 가능하도록[0008]
돌출되는 가동 접점부를 갖는 연결 단자로써, 강체 연결부를 통해 연속되는 제1 만곡부 및 제2 만곡부를
가지며, 상기 제1 만곡부의 자유 단부에 고정부를 마련하는 한편, 상기 제2 만곡부의 자유 단부에 가동 접점부
를 마련하고, 상기 강체 연결부를 향해 변위하는 맞닿음부를 상기 가동 접점부의 상기 제2 만곡부와는 반대측에
배치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강체 연결부는 상기 제1 만곡부 및 제2 만곡부의 강성(剛性)보다도 큰 강성을 갖는 연결부를 말하며, 상[0009]
기 제1 만곡부 및 제2 만곡부의 스프링 상수에 비하여 상기 제1 만곡부와 제2 만곡부와의 연결 부분의 스프링
상수를 크게 하는 것으로 구현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만곡부와 제2 만곡부가 강체 연결부를 통해 연속되어 있으므로, 제1 만곡부 및 제2 만곡[0010]
부마다 탄성 변형량을 설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동 접점부의 변위량의 설계가 용이하면서 또한 정확해져
외부로부터의 부하에 의한 소성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연결 단자를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서는, 상기 제1 만곡부 및 상기 제2 만곡부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쪽을 복수의 만곡[0011]
되는 연장부를 형성하여, 상기 연장부의 사이에 만곡되는 슬릿(slit)을 구비하여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1 및 제2 만곡부를 복수의 연장부들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설계의 자유도가 넓[0012]
어지고 사용자의 요구에 따른 설계가 용이한 연결 단자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서는, 상기 맞닿음부가 상기 강체 연결부에 맞닿을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0013]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과대한 부하가 가동 접점부에 가해져도, 상기 가동 접점부가 강체 연결부에 맞닿아서[0014]
소성 변형을 방지하고, 큰 부하에 견딜 수 있는 연결 단자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서는, 상기 강체 연결부의 외향면에 상기 맞닿음부에 맞닿을 수 있는 맞닿음용 돌기[0015]
를 돌출되게 마련해 두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맞닿음용 돌기가 가동 접점부에 부하된 충격력을 흡수하고 완화하므로, 보다 더[0016]
확실하게 소성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연결 단자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술한 연결 단자의 가동 접점부를 하우징에 마련한[0017]
접점 홀로부터 출납이 가능하도록 돌출시킨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동 접점부의 변위량의 설계가 용이하면서 또한 정확해져, 외부로부터의 부하에 의한 소성[0018]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연결 단자를 구비한 커넥터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로서는, 하우징의 내측 둘레부에 마련한 위치 결정부에 상기 연결 단자의 맞닿음부를[0019]
맞닿게 하여 위치 규제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가동 접점부의 위치 결정이 정확해져 동작 특성에 불균일이 적은 커넥터를 얻을[0020]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연결 단자를 탑재한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0021]
등록특허 10-1482563
- 3 -
도 1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연결 단자를 탑재한 커넥터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연결 단자를 탑재한 커넥터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2a는 도 1a 내지 1c에 도시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연결 단자를 탑재한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2b는 도 1a 내지 1c에 도시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연결 단자를 탑재한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3a는 도 1a 내지 1c에 도시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연결 단자를 탑재한 커넥터의 배면도이다.
도 3b는 도 1a 내지 1c에 도시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연결 단자를 탑재한 커넥터의 저면도이다.
도 4a는 도 1a 내지 1c에 도시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연결 단자를 탑재한 커넥터의 동작 전의 단면도이다.
도 4b는 도 1a 내지 1c에 도시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연결 단자를 탑재한 커넥터의 동작 중의 단면도이다.
도 4c는 도 1a 내지 1c에 도시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연결 단자를 탑재한 커넥터의 동작 후의 단면도이다.
도 5a는 도 1a 내지 1c에 도시한 하우징 단체(單體)의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1a 내지 1c에 도시한 하우징 단체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5c는 도 1a 내지 1c에 도시한 하우징 단체의 중앙 단면도이다.
도 6a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연결 단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b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연결 단자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a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연결 단자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b는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연결 단자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a는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연결 단자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b는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연결 단자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9a는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연결 단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b는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연결 단자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본 발명에 따른 연결 단자의 실시 형태들을 도 1a 내지 도 9b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0022]
제1 실시 형태는, 도 1a 내지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지 성형된 하우징(10)의 양단에 고정 철구(20)를[0023]
압입하면서, 동시에 상기 고정 철구들(20, 20) 사이에 연결 단자(30)를 소정의 피치로 압입한 커넥터에 적용한
경우이다.
더구나, 상기 커넥터 하우징(10)은, 높이 3.5㎜ 및 최대 안 길이 2.8㎜의 외형 사이즈를 가지며, 도시하지 않은[0024]
프린트 기판의 상면 가장자리부에 마련된 거의 'ㄷ'자 형상의 노치부에 감합(嵌合)되어 장착된다.
상기 하우징(10)은,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양측면 및 배면을 따라 연속되는 돌출부(11)를[0025]
옆쪽으로 돌출되게 마련하고 있다. 상기 돌출부(11)의 양단에는 후술하는 고정 철구(20)를 위쪽에서 압입할 수
있는 제1 수납 스페이스(12)를 각각 마련하고 있다(도 5b). 그리고 상기 제1 수납 스페이스(12)에는 그 대향하
는 내측면을 따라 압입용 래칭 홀(13)을 마련하고 있다. 더욱이, 상기 돌출부(11)는 그 바닥면의 기부에 위치
결정용 돌기(14)를 돌출되게 마련하고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은 상기 제1 수납 스페이스들(12, 12) 사이에 연결 단자(30)를 위쪽에서 압입할 수 있는[0026]
3개의 제2 수납 스페이스(15)를 병설하고 있다. 특히, 상기 제1 수납 스페이스(12)와 이웃하는 위치에 마련된
제2 수납 스페이스(15)는 칸막이 벽(15a)으로 칸막이가 되어 있다. 나아가, 상기 하우징(10)은 그 정면측으로
상기 제2 수납 스페이스(15)에 연통되면서, 또한 후술하는 연결 단자(30)의 가동 접점부(38)를 출납할 수 있는
접점 홀(16)을 마련하고 있으면서, 동시에(도 5c), 상기 접점 홀(16)의 아래쪽의 내측 둘레부를 위치 결정부
(16a)로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에는 상기 제2 수납 스페이스(15)에 연통되는 압입용 래칭 홀(17)을
마련하고 있다.
등록특허 10-1482563
- 4 -
고정 철구(20)는, 도 1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금속제의 얇은 판을 틀로 찍어 내어 형성한 프레스 성형품으로[0027]
써, 래칭 클로(21) 및 위치 결정용 지지부(22)를 병설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하우징(10)에 마련한 제1 수
납 스페이스(12)의 압입용 래칭 홀(13)에 상기 고정 철구(20)의 래칭 클로(21)를 위쪽에서 압입하는 것에 의해,
상기 고정 철구(20)가 빠짐 방지가 되면서, 동시에 상기 고정 철구(20)의 위치 결정용 지지부(22)가 상기 하우
징(10)의 위치 결정용 돌기(14)의 하단면과 동일한 높이가 된다.
연결 단자(30)는, 도 6a 및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부(31)의 중간 위치에서 아래쪽 측으로 압입용 래[0028]
칭 클로(32a)를 돌출되게 마련하면서, 동시에 그 일단부에서 아래쪽 측으로 지지부(33)를 연장하는 한편, 그 타
단부에서 거의 'L'자 형상의 단자부(32b)를 아래쪽 측으로 연장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33)의 선단에 위
치하는 분기부(34)로부터 거의 'U'자 형상의 제1 만곡부(35)를 연장시키고, 나아가, 강체 연결부인 맞닿음 리시
빙부(36)를 개재하여 제1 만곡부(35)와는 역방향으로 개구가 향하도록 배치된 거의 'U'자 형상의 제2 만곡부
(37)를 연장시키고 있다. 다시 말하면, 제1 만곡부(35)와 제2 만곡부(37)는 맞닿음 리시빙부(36)를 개재하여 연
속적으로 연결되어 거의 'S'자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연속하는 제1 만곡부와 제2 만곡부
와의 양단을 이은 선분(線分)에 대하여 각각의 만곡부의 개구부가 반대 방향을 향하고 있다. 이에 따라, 지지부
(33)에 응력집중이 생기기 어려워져 수명이 길어지면서, 동시에 설계의 자유도가 넓어진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더욱이, 강체 연결부(36)는 이상적인 강체일 필요는 없고, 제1 만곡부(35) 및 제2 만곡부(37)가 탄성 변형할 때[0029]
에 강체 연결부(36)는 변형되지 않고 실질적으로 강체로 간주될 수 있는 역할을 하면 좋다.
상기 제1 만곡부(35)는 상기 분기부(34)로부터 제1 연장부(40a)와 제2 연장부(40b)를 거의 평행으로 구불구불하[0030]
게 구부러지도록 연장시키고, 그 사이에 만곡되는 슬릿(41)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2 만곡부(37)는 상
기 맞닿음 리시빙부(36)로부터 제1 연장부(42a)와 제2 연장부(42b)를 거의 평행으로 구불구불하게 구부러지도록
연장시키고, 그 사이에 만곡되는 슬릿(43)을 형성하고 있다. 나아가, 상기 제2 만곡부(37)는 그 자유 단부의 외
측면에 위치하는 부분을 두께가 두꺼운 가동 접점부(38)로 하는 한편, 그 자유 단부의 내측면에서 내측으로 맞
닿음부(39)를 연장시키고 있다. 그리고 상기 맞닿음부(39)는 강체 연결부인 상기 맞닿음 리시빙부(36)에 맞닿을
수 있게 되어 있다.
더욱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 및 제2 연장부들(40a, 40b, 42a, 42b)은 똑같은 폭 치수가 아니며, 그[0031]
만곡 부분에 있어서 외측에 위치하는 만곡 부분의 폭 치수를 내측에 위치하는 만곡 부분의 폭 치수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동작 시에 응력집중이 한층 더 생기기 어려워져서 수명이 길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슬릿들(41, 43)의 폭 치수는 똑같을 필요는 없고, 필요에 따라 다르게 해도 좋은 것[0032]
은 물론이다.
그리고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제2 수납 스페이스(15)에 위쪽에서 상기 연[0033]
결 단자(30)를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31)의 압입용 래칭 클로(32a)를 압입용 래칭 홀(17)에 압입하여
래칭한다. 이에 의해, 제2 만곡부(37)의 맞닿음부(39)가 접점 홀(16)의 아래쪽 하우징(10)의 내측 둘레부에 마
련된 위치 결정부(16a)에 맞닿아서 위치 결정된다(도 4a).
나아가, 상기 하우징(10)의 제1 수납 스페이스(12)에 고정 철구(20)를 삽입하고, 상기 하우징(10)의 압입홀(1[0034]
3)에 상기 고정 철구(20)의 래칭 클로(21)를 압입하여 고정한다(도 1c).
더욱이, 하우징(10)과 연결 단자(30)나 고정 철구(20)와의 고정 방법은 압입에 한하지 않고, 접착이나 끼워 넣[0035]
기 등의 고정 방법을 채용하여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도 1c 및 도 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11)의 바닥면에 마련한 위치 결정[0036]
용 돌기(14)의 하단면이 고정 철구(20)의 위치 결정용 지지부(22)의 하단면 및 연결 단자(30)의 단자부(32b)의
하단면과 동일한 높이가 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커넥터를 도시하지 않은 프린트 기판의 가장자
리부에 마련한 거의 'ㄷ'자 형상의 노치부에 장착하고, 상기 프린트 기판에 마련한 위치 결정용 관통 홀에 상기
고정 철구(20)의 래칭 클로(21)를 삽입하면, 상기 프린트 기판에 상기 커넥터를 덜걱거림이 없이 장착할 수 있
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 단자(30)의 가동 접점부(38)에 외력이 부하되면, 가장 먼저 제2 만곡[0037]
부(37)가 안쪽으로 만곡되고, 맞닿음부(39)가 맞닿음 리시빙부(36)를 향해 내측으로 이동하면서, 동시에 제2 만
곡부(37)가 안쪽으로 탄성 변형된다. 나아가, 가동 접점부(38)를 밀어 넣으면, 도 4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
기 맞닿음부(39)가 제1 만곡부 및 제2 만곡부보다도 강성이 큰 맞닿음 리시빙부(36)에 맞닿아 제2 만곡부(37)의
등록특허 10-1482563
- 5 -
탄성 변형을 규제하면서, 동시에 제1 만곡부(35)가 크게 탄성 변형된다. 이에 따라, 제2 만곡부(37)에 대한 응
력의 집중을 완화시킬 수 있고, 소성 변형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가동 접점부(38)에 대한 부하를 제거하면, 연결 단자(30)는, 도 4a에 도시하는 초기 위치로 되돌아갈[0038]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맞닿음부(39)는 연결 단자(30)가 탄성 변형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상기 맞닿음 리시빙
부(36)에 맞닿도록 그 형상이 정해져 있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맞닿음부(39)가 강체 연결부인 맞닿음 리시빙부(36)에 맞닿는 구성에 대해서[0039]
설명하였으나, 상기 맞닿음부(39)가 맞닿는 위치는 제1 만곡부(35)와 제2 만곡부(37)를 연속적으로 연결하는 영
역이면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가동 접점부(38)와 고정부(31) 사이에 맞닿음 리시빙부(36)를 개재하여 만곡되는 제1[0040]
및 제2 만곡부(35, 37)가 마련되어 스프링 길이가 길어지므로, 원하는 변위량을 확보하면서도 응력 집중이 생기
기 어렵다. 이에 따라, 소성 변형이 생기기 어렵고, 수명이 긴 커넥터를 얻을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는, 도 7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거의 같으며, 다른 점은 맞닿음 리시빙[0041]
부(36)의 내측면에 상기 맞닿음부(39)에 맞닿을 수 있는 거의 'L자' 형상의 맞닿음용 돌기(36a)를 돌출되게 마
련한다는 것이다. 그 이외는,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같으므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맞닿음 리시빙부(36)에 거의 'L'자 형상의 맞닿음용 돌기(36a)를 돌출되게 마련하고 있[0042]
으므로, 상기 맞닿음용 돌기(36a)가 맞닿음부(39)의 충격력을 흡수하고 완화하여, 연결 단자(30)의 소성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제3 실시 형태는, 도 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거의 같으며, 다른 점은 상기 분기부[0043]
(34)로부터 제1 연장부(40a), 제2 연장부(40b), 제3 연장부(40c)를 거의 평행으로 구불구불하게 구부러지도록
연장시켜서, 만곡되는 슬릿들(41a, 4lb)을 형성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맞닿음부(39)는 강체 연결부인 상기 맞닿
음 리시빙부(36)에 맞닿을 수 있게 되어 있다. 그 이외는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같으므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1 만곡부(35)가 제1, 제2 및 제3 연장부(40a, 40b, 40c)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하[0044]
여, 보다 큰 지지력으로 제2 만곡부(37)를 지지할 수 있고, 상기 제2 만곡부(37)의 소성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고 하는 이점이 있다.
제4 실시 형태는, 도 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거의 같으며, 다른 점은 제1 만곡부[0045]
(35)을 하나의 연장부(40a)로 형성한 것이다. 그 이외는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같으므로, 동일한 부분에는 동
일한 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1 만곡부(35)의 형상이 간단해져 금형의 제조가 용이해진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0046]
제5 실시 형태는, 도 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거의 같으며, 다른 점은 제2 만곡부[0047]
(37)을 하나의 연장부(42a)로 형성한 것이다. 그 이외는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같으므로, 동일한 부분에는 동
일한 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2 만곡부(37)의 형상이 간단해져 금형의 제조가 용이해진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0048]
제6 실시 형태는, 도 9a, 도 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부(31)에서 일방 측으로, 하우징에 압입 고정이 가[0049]
능한 거의 'L'자 형상의 단자부(32b)를 연장시키고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31)로부터 타방측에 마련된 지지부
(33)를 개재하여 제1 만곡부(35)를 연장시키면서, 나아가 맞닿음 리시빙부(36)를 개재하여 제2 만곡부(37)가 연
장되어 있다.
이에 따라, 고정부(31)에 응력 집중이 생기기 어려워져 수명이 길어지면서, 동시에 설계의 자유도가 넓어진다고[0050]
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만곡부(35)는 상기 지지부(33)에서 연장되는 한 장의 제1 연장부(40a)로 형성되며, 상기 제2[0051]
만곡부(37)는 맞닿음 리시빙부(36)에서 연장되는 한 장의 제1 연장부(42a)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만곡부(37)는 그 자유단부의 외측면에 위치하는 부분을 가동 접점부(38)로 하면서, 동시에 그 선단부를 내측으
로 연장시켜서 맞닿음부(39)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맞닿음부(39)는 상기 맞닿음 리시빙부(36)에 맞닿을
수 있게 되어 있다. 특히, 상기 맞닿음 리시빙부(36)를 폭이 넓게 하면서, 동시에 절곡 가공을 실시하여 강성을
등록특허 10-1482563
- 6 -
높게 하였다. 그 이외는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같으므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프레스 가공에 의해서도 제조할 수 있으며, 제조 방법의 선택 범위가 넓어진다고 하는[0052]
이점이 있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2장 1조의 연결 단자와 1장의 연결 단자를 조[0053]
합시키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모두 1장의 연결 단자만으로 구성되어도 좋고, 혹은 모두 2장 1조의 연
결 단자로 구성되어도 좋다. 나아가, 3장 1조로 연결 단자를 탑재해도 좋으며, 필요에 따라 연결 단자의 수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연장부 및 슬릿은 동일한 폭 치수일 필요는 없으며, 필요에 따라 폭 치수를 변화시켜도 좋다. 예를 들면,[0054]
연장부의 만곡 부분 중에서 외측에 위치하는 연장부의 만곡 부분의 폭 치수만을 크게 하여 응력 집중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내구성을 높여도 좋다.
그리고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하우징에 연결 단자를 탑재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프린트 기[0055]
판 자체를 하우징으로 하여 그 측단면에 본 발명의 연결 단자를 직접 탑재해도 좋다. 이에 의하면, 종래의 하우
징 및 고정 철구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결과적으로 장치 전체를 한층 더 소형화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따른 연결 단자를 탑재한 커넥터는, 상술한 형상에 한하지 않고, 프린트 기판의 상면에 표면 실장할[0056]
수 있는 형상으로서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부호의 설명
10:하우징 11:돌출부[0057]
15: 제2 수납 스페이스 16:접점 홀
16a:위치 결정부 20:고정 철구
30: 연결 단자 31:고정부
32a:압입용 래칭 클로 32b:단자부
33:지지부 34:분기부
35, 37:제1 및 제2 만곡부 36:맞닿음 리시빙부(강체 연결부)
38:가동 접점부 39:맞닿음부
40a, 40b:제1 및 제2 연장부 41, 41a, 4lb:슬릿
42a, 42b:제1 및 제2 연장부 43:슬릿
등록특허 10-1482563
- 7 -
도면
도면1a
도면1b
도면1c
등록특허 10-1482563
- 8 -
도면2a
도면2b
도면3a
도면3b
등록특허 10-1482563
- 9 -
도면4a
도면4b
도면4c
등록특허 10-1482563
- 10 -
도면5a
도면5b
도면5c
등록특허 10-1482563
- 11 -
도면6a
도면6b
도면7a
등록특허 10-1482563
- 12 -
도면7b
도면8a
도면8b
등록특허 10-1482563
- 13 -
도면9a
도면9b
등록특허 10-1482563
- 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