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카테고리 없음

슬라브 시스템(Slab System)

끝까지가보는거야 2018. 5. 30. 15:38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16년06월08일
(11) 등록번호 10-1628024
(24) 등록일자 2016년06월01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E04G 11/48 (2006.01)
(52) CPC특허분류
E04G 11/486 (2013.01)
(21) 출원번호 10-2015-0090438
(22) 출원일자 2015년06월25일
심사청구일자 2015년06월25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KR101341864 B1*
KR1019970009264 B1*
KR1020110003165 A*
KR1020110131593 A*
*는 심사관에 의하여 인용된 문헌
(73) 특허권자
(주)진명에프앤씨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광교중앙로 305, 씨동 730
호 (상현동, 광교2차푸르지오시티)
(72) 발명자
채다인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고기로525번길 1-6 (
고기동)
(74) 대리인
특허법인충현
전체 청구항 수 : 총 11 항 심사관 : 서정일
(54) 발명의 명칭 슬라브 시스템
(57) 요 약
본 발명은 슬라브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슬라브 시스템은 슬라브를 지지하며, 길이방향으로 공
간(105)이 형성되고, 공간(105)에 길이방향과 수직으로 체결핀(120)이 결합되고, 공간(105)의 말단에 길이방향과
수직으로 체결홀(130)이 형성된 빔(100), 빔(100)을 지지하는 지지부재(200), 일단에 걸림부(310)가 형성되어 지
지부재(200)에 걸리고, 타단에 함몰부(320)가 형성되어 체결핀(120)에 결합되고, 일단과 타단 사이에 빔(100)의
길이방향과 수직으로 체결홈(340)이 형성된 연결재(300), 및 체결홀(130)과 체결홈(340)에 삽입되어 빔(100)과
연결재(300)를 체결하는 쇄기(400)를 포함한다.
대 표 도 - 도1
등록특허 10-1628024
- 1 -
명 세 서
청구범위
청구항 1
슬라브를 지지하며, 길이방향으로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에 길이방향과 수직으로 체결핀이 결합되고, 상기
공간의 말단에 길이방향과 수직으로 체결홀이 형성된 빔;
상기 빔을 지지하는 지지부재;
일단에 걸림부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재에 걸리고, 타단이 상기 체결핀에 의해서 상기 빔에 결합되고, 일단과
타단 사이에 상기 빔의 길이방향과 수직으로 체결홈이 형성된 연결재; 및
상기 체결홀과 상기 체결홈에 삽입되어 상기 빔과 상기 연결재를 체결하는 쇄기;
를 포함하고,
상기 쇄기는,
상기 체결홀과 상기 체결홈를 관통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빔의 측면에 걸리는 헤드; 및
상기 본체의 타단에 돌출되어 상기 빔의 측면에 걸리는 고정부;
를 포함하며,
상기 쇄기는,
상기 헤드로부터 상기 본체의 타단 방향으로 연장된 탄성지지부;
상기 탄성지지부에 결합되어, 상기 빔의 측면과 접촉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와 마주보도록 상기 본체의 폭이 증가하면서 형성된 단차;
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홈의 하단에는 상기 단차에 걸리도록 돌출된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재가 가압되도록 상기 헤드를 상기 연결재 방향으로 밀면, 상기 단차가 이동하면서 상기 돌기로부터
분리되는 슬라브 시스템.
청구항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재의 타단에는 함몰부가 형성되어 상기 체결핀에 결합되고,
상기 함몰부는 상기 체결핀에 대응하도록 상기 연결재의 일단 방향으로 반원형으로 함몰되는 슬라브 시스템.
청구항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빔의 측면에는 상기 빔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핀은 상기 장공을 따라 슬라이딩가능하며,
등록특허 10-1628024
- 2 -
상기 체결핀은 상기 연결재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결합되는 슬라브 시스템.
청구항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상단에는 원형으로 돌출될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도록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슬라브 시스템.
청구항 5
삭제
청구항 6
삭제
청구항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빔은,
내부에 제1 공간이 형성되고, 측면에 잠금홀이 형성된 제1 빔;
상기 제1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빔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고, 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길이로
슬라이딩홀이 형성된 제2 빔; 및
상기 잠금홀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홀을 관통하고, 상기 제2 빔의 측면을 압박하여 상기 제2 빔을 제1 빔에
고정시키는 잠금부;
를 포함하는 슬라브 시스템.
청구항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슬라브의 최외각에 배치되어, 평면을 기준으로 폐루프를 이루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을 가로지도록, 양단이 상기 브라켓에 결합된 필러멍에;
를 포함하는 슬라브 시스템.
청구항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상측에는 2개의 제1 플레이트가 마주보도록 돌출된 제1 키커가 결합되고,
상기 필러멍에의 하측에는 2개의 제2 플레이트가 마주보도록 돌출된 제2 키커가 결합되며,
일단이 2개의 상기 제1 플레이트 사이에 체결되고 타단이 2개의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에 체결되는 링크를 더
포함하는 슬라브 시스템.
등록특허 10-1628024
- 3 -
청구항 10
청구항 9에 있어서,
2개의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링크의 일단에는 제1 고정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1 고정홀에 제1 고정핀이 체
결되고,
2개의 상기 제2 플레이트와 상기 링크의 타단에는 제2 고정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2 고정홀에 제2 고정핀이 체
결되는 슬라브 시스템.
청구항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필러멍에는,
길이방향으로 연결된 제1 필러멍에와 제2 필러멍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필러멍에의 일단과 상기 제2 필러멍에의 일단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브 시스템.
청구항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러멍에의 일단에는 키커숫이 결합되고, 상기 제2 필러멍에의 일단에는 상기 키커숫을 둘러싸는 키커
암이 결합되는 슬라브 시스템.
청구항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키커숫은,
하측으로 연장된 제1 숫연장부, 상기 제1 숫연장부로부터 상기 제1 필러멍에의 타단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숫연
장부, 및 상기 제2 숫연장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제3 숫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키커암은,
하측으로 연장된 제1 암연장부, 상기 제1 암연장부로부터 상기 제1 필러멍에의 타단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암연
장부, 상기 제2 암연장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제3 암연장부, 및 상기 제3 암연장부로부터 상기 제1 필러멍에
의 일단 방향으로 연장된 제4 암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암연장부는 상기 제2 숫연장부에 접촉하고, 상기 제3 암연장부와 상기 제4 암연장부는 상기 제3 숫연
장부에 접촉하면서, 상기 키커암은 상기 키커숫을 둘러싸는 슬라브 시스템.
발명의 설명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슬라브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0001]
배 경 기 술
다층의 콘크리트 구조물을 건설하는 방법은 우선 벽면 거푸집을 만들고, 벽면 거푸집 상부에 다수의 슬라브패널[0002]
을 수평으로 설치한다. 이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시공하고, 이러한 시공을 반복한다.
여기서, 슬라브패널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천정 높이에 해당하는 일정 높이에 설치되어야 하므로 견고하여야 한[0003]
다. 또한, 슬라브패널의 설치 및 해체를 위한 장치시스템은 그 구조가 간단하여 작업자 누구나 쉽게 설치하고
등록특허 10-1628024
- 4 -
해체할 수 있도록 제작될 필요성이 있고, 설치 및 해체에 짧은 시간이 소요될 필요성이 있다.
하기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에 개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슬라브 시스템은 벽체 거푸집과 테크 지지[0004]
바 연결용 연결구를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에 따른 슬라브 시스템은 슬라브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부
재들의 구조가 복잡하고, 슬라브패널의 설치 및 해체도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복잡한
부재들로 인하여 제작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0001) KR 20-0439291 Y1 [0005]
발명의 내용
해결하려는 과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구조가 단순하여 설치 및[0006]
해체가 쉽고, 짧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제작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슬라브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과제의 해결 수단
본 발명에 따른 슬라브 시스템은 슬라브를 지지하며, 길이방향으로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에 길이방향과[0007]
수직으로 체결핀이 결합되고, 상기 공간의 말단에 길이방향과 수직으로 체결홀이 형성된 빔, 상기 빔을 지지하
는 지지부재, 일단에 걸림부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재에 걸리고, 타단이 상기 체결핀에 의해서 상기 빔에 결합
되고, 일단과 타단 사이에 상기 빔의 길이방향과 수직으로 체결홈이 형성된 연결재, 및 상기 체결홀과 상기 체
결홈에 삽입되어 상기 빔과 상기 연결재를 체결하는 쇄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브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연결재의 타단에는 함몰부가 형성되어 상기 체결핀에 결합되고,[0008]
상기 함몰부는 상기 체결핀에 대응하도록 상기 연결재의 일단 방향으로 반원형으로 함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브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빔의 측면에는 상기 빔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장공이 형성되[0009]
고, 상기 체결핀은 상기 장공을 따라 슬라이딩가능하며, 상기 체결핀은 상기 연결재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결합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브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상단에는 원형으로 돌출될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0010]
걸림부는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도록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의 상측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브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쇄기는, 상기 체결홀과 상기 체결홈를 관통하는 본체, 상기 본체[0011]
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빔의 측면에 걸리는 헤드, 및 상기 본체의 타단에 돌출되어 상기 빔의 측면에 걸리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브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쇄기는, 상기 헤드로부터 상기 쇄기의 타단 방향으로 연장된 탄[0012]
성지지부, 상기 탄성지지부에 결합되어, 상기 빔의 측면과 접촉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와 마주보도록
상기 본체의 폭이 증가하면서 형성된 단차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홈의 하단에는 상기 단차에 걸리도록 돌출된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재가 가압되도록 상기 헤드를 상기 연결재 방향으로 밀면, 상기 단차가 이동하면
서 상기 돌기로부터 분리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브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빔은, 내부에 제1 공간이 형성되고, 측면에 잠금홀이 형성된 제1[0013]
빔, 상기 제1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빔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고, 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길
이로 슬라이딩홀이 형성된 제2 빔, 및 상기 잠금홀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홀을 관통하고, 상기 제2 빔의 측
면을 압박하여 상기 제2 빔을 제1 빔에 고정시키는 잠금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브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슬라브의 최외각에 배치되어, 평면을 기준으로[0014]
폐루프를 이루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을 가로지도록, 양단이 상기 브라켓에 결합된 필러멍에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브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상측에는 2개의 제1 플레이트가 마주보도록 돌출된 제1[0015]
등록특허 10-1628024
- 5 -
키커가 결합되고, 상기 필러멍에의 하측에는 2개의 제2 플레이트가 마주보도록 돌출된 제2 키커가 결합되며, 일
단이 2개의 상기 제1 플레이트 사이에 체결되고 타단이 2개의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에 체결되는 링크를 더 포
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브 시스템에 있어서, 2개의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링크의 일단에는 제1 고정홀이 형성[0016]
되어, 상기 제1 고정홀에 제1 고정핀이 체결되고, 2개의 상기 제2 플레이트와 상기 링크의 타단에는 제2 고정홀
이 형성되어, 상기 제2 고정홀에 제2 고정핀이 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브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필러멍에는, 길이방향으로 연결된 제1 필러멍에와 제2 필러멍에[0017]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필러멍에의 일단과 상기 제2 필러멍에의 일단은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브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러멍에의 일단에는 키커숫이 결합되고, 상기 제2 필러멍에[0018]
의 일단에는 상기 키커숫을 둘러싸는 키커암이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브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키커숫은, 하측으로 연장된 제1 숫연장부, 상기 제1 숫연장부로[0019]
부터 상기 제1 필러멍에의 타단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숫연장부, 및 상기 제2 숫연장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제3 숫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키커암은, 하측으로 연장된 제1 암연장부, 상기 제1 암연장부로부터 상기 제1
필러멍에의 타단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암연장부, 상기 제2 암연장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제3 암연장부, 및
상기 제3 암연장부로부터 상기 제1 필러멍에의 일단 방향으로 연장된 제4 암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암연
장부는 상기 제2 숫연장부에 접촉하고, 상기 제3 암연장부와 상기 제4 암연장부는 상기 제3 숫연장부에 접촉하
면서, 상기 키커암은 상기 키커숫을 둘러싼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0020]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0021]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
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르면, 구조가 단순하여 설치 및 해체가 쉽고, 짧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제작비용을 절약할[0022]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브 시스템의 사시도,[0023]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브 시스템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슬라브 시스템의 부분 측면도, 부분 평면도, 및 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슬라브 시스템의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슬라브 시스템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부분 측면도, 부분 평면도, 및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브 시스템의 부분 측면도, 부분 평면도, 및 단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슬라브 시스템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부분 측면도, 부분 평면도, 및 단면도,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연결재와 쇄기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8a 내지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브 시스템의 평면도,
도 9는 브라켓과 필러멍에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부분 평면도와 측면도,
도 10은 도 9의 A부분을 확대한 측면도와 제1,2 키커와 링크의 사시도, 및
도 11a 내지 도 11b는 도 9의 B부분을 확대한 측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0024]
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
등록특허 10-1628024
- 6 -
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
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0025]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브 시스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브 시스템[0026]
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슬라브 시스템의 부분 측면도, 부분 평면도, 및 단면도이
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슬라브 시스템은 슬라브를 지지하며, 길이방향으로 공간[0027]
(105)이 형성되고, 공간(105)에 길이방향과 수직으로 체결핀(120)이 결합되고, 공간(105)의 말단에 길이방향과
수직으로 체결홀(130)이 형성된 빔(100), 빔(100)을 지지하는 지지부재(200), 일단에 걸림부(310)가 형성되어
지지부재(200)에 걸리고, 타단에 함몰부(320)가 형성되어 체결핀(120)에 결합되고, 일단과 타단 사이에 빔(10
0)의 길이방향과 수직으로 체결홈(340)이 형성된 연결재(300), 및 체결홀(130)과 체결홈(340)에 삽입되어 빔
(100)과 연결재(300)를 체결하는 쇄기(400)를 포함한다.
상기 빔(100)은 슬라브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막대형으로 연장된다. 여기서, 빔(10[0028]
0)은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에 공간(105)이 형성된다. 이러한 공간(105)에는 빔(100)의 길이방향과 수직으로 체
결핀(120)이 결합되고, 공간(105)의 말단(체결핀(120)에 비해서 외각)에는 빔(100)의 길이방향과 수직으로 체결
홀(130)이 형성된다. 이러한 체결홀(130)에는 쇄기(400)가 결합되는데, 이와 관련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빔(100)은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제1 빔(100a)과 제2 빔(100b)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빔(100[0029]
a)은 상단과 하단의 폭이 중단에 비해서 넓게 형성되고, 내부에 제1 공간(105a)이 형성된다. 또한, 제2 빔
(100b)은 상단이 하단에 비해서 넓게 형성되고, 내부에 제2 공간(105b)이 형성된다. 이때, 제2 빔(100b)은 제1
빔(100a)의 제1 공간(105a)에 삽입되어, 제1 빔(100a)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다. 따라서, 제1 빔
(100a)과 제2 빔(100b)을 포함하는 빔(100)은 길이조절이 가능하다. 추가적으로, 제2 빔(100b)이 제1 빔(100
a)에 대한 슬라이딩을 제어하기 위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홀(110), 슬라이딩홀(115), 및 잠금부
(117)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잠금홀(110)은 제1 빔(100a)의 측면에 형성되고, 슬라이딩홀(115)은 제2 빔
(100b)의 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길이로 형성된다. 이때, 슬라이딩홀(115)은 잠금홈에 비해서 길게(제1 빔
(100a) 또는 제2 빔(100b)의 길이방향을 기준) 형성되고, 슬라이딩홀(115)과 잠금홀(110)은 각각 1개 이상이 형
성될 수 있다. 또한, 잠금부(117)는 잠금홀(110)과 슬라이딩홀(115)이 중첩된 상태에서, 잠금홀(110)에 결합되
어 슬라이딩홀(115)을 관통하고, 제2 빔(100b)의 측면(슬라이딩홀(115)의 상하측)을 압박하여 제2 빔(100b)을
제1 빔(100a)에 고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잠금부(117)는 잠금홀(110)에 대응하도록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잠금홀(110)에 삽입되고 제2 빔(100b)의 양측면을 압박하도록 2개가 나란하게 배치되는 압박수단(118), 2개의
압박수단(118)을 서로 체결시켜 2개의 압박수단(118)이 제2 빔(100b)의 양측면을 압박하도록 하는 체결수단
(119)을 포함한다. 따라서, 체결수단(119)을 이용하여 2개의 압박수단(118)으로 제2 빔(100b)을 압박함으로써,
제2 빔(100b)을 제1 빔(100a)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체결수단(119)을 이용하여 2개의 압박수단(118)이 제2
빔(100b)을 압박하는 것을 해제함으로써, 제2 빔(100b)을 제1 빔(100a)에 대해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200)는 빔(100)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지지부재(200)는 빔(100)의 양단을 지지하[0030]
는 브라켓 또는 필러멍에 등일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200)는 빔(100)을 지지하기 위해서, 상단에 원형으로
돌출된 돌출부(21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210)에는 연결재(300)의 걸림부(310)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지지부재(200)의 상단(돌출부(210)의 외측)에는 슬라브의 테두리를 지지하는 목재(220)가 못 등으로 결합
될 수 있다.
상기 연결재(300)는 지지부재(200)와 빔(100)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연결재(300)는 일단에 걸림[0031]
부(310)가 형성되어 지지부재(200)에 걸리고, 타단에 함몰부(320)가 형성되어 빔(100)에 결합된 체결핀(120)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연결재(300)의 일단에 형성된 걸림부(310)는 후크 방식으로 지지부재(200)의 돌출부
(210)에 걸린다. 더욱 구체적으로, 걸림부(310)는 지지부재(200)의 돌출부(210, 원형으로 돌출됨)에 대응하도록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돌출부(21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반원형으로 형성된 걸림부(310)는 원형으로 형
성된 돌출부(210)의 상면에 맞물릴 수 있다. 또한, 연결재(300)의 타단에 형성된 함몰부(320)는 빔(100)에 결합
등록특허 10-1628024
- 7 -
된 체결핀(120)에 대응하도록 연결재(300)의 일단 방향으로 반원형으로 함몰된다. 즉, 반원형으로 형성된 함몰
부(320)는 원형으로 형성된 체결핀(120)의 측면에 맞물릴 수 있다. 다만, 연결재(300)의 타단에 반드시 함몰부
(320)가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핀(120)이 연결재(300)와 일체
로 형성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빔(100)의 측면에는 빔(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장공(125)이
형성되고, 체결핀(120)은 장공(125)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다. 따라서, 체결핀(120)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결
합된 연결재(300)는 빔(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다. 한편, 연결재(300)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
는 빔(100)의 길이방향과 수직으로 체결홈(34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홈(340)에는 쇄기(400)가 결합되
는데, 이와 관련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쇄기(400, 도 3 참조)는 빔(100)과 연결재(300)를 분리가능하도록 체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쇄[0032]
기(400)는 빔(100)의 체결홀(130)과 연결재(300)의 체결홈(340)이 정렬된 상태에서, 체결홀(130)과 체결홈(34
0)에 삽입되어, 빔(100)과 연결재(300)를 체결한다. 이와 같이, 체결홀(130)과 체결홈(340)에 쇄기(400)가 삽입
되면, 연결재(300)의 타단은 체결핀(120)에 맞물리고, 연결재(300)의 일단과 타단 사이는 쇄기(400)에 의해서
결합됨으로써, 연결재(300)는 빔(100)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쇄기(400)를 밀면,
연결재(300)의 일단과 타단 사이가 빔(100)으로부터 분리되는 동시에, 빔(100)은 자중에 의해서 하측으로 이동
하고, 그에 따라 연결재(300)는 회동하면서, 연결재(300)의 걸림부(310)가 지지부재(200)의 돌출부(210)로부터
분리된다. 이와 같이, 쇄기(400)를 밀면, 빔(100)을 지지부재(200)로부터 손쉽게 분리할 수 있다. 다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핀(120)이 장공(125)에 결합된 경우, 쇄기(400)를 밀면, 연결재(300)의 일단과 타단 사
이가 빔(100)으로부터 분리되는 동시에, 빔(100)은 자중에 의해서 하측으로 이동하고, 그에 따라 체결핀(120)은
장공(125)을 따라 슬라이드딩하면서 연결재(300)가 회동하고, 결과적으로 작업자는 연결재(300)의 걸림부(310)
를 지지부재(200)의 돌출부(210)로부터 손쉽게 분리할 수 있다.
한편, 쇄기(400, 도 3 참조)는 본체(410), 헤드(420), 및 고정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체(410)는[0033]
막대형으로 형성되어, 체결홀(130)과 체결홈(340)을 관통하고, 헤드(420)는 본체(410)의 일단에 본체(410)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되어 빔(100)의 측면에 걸린다. 또한, 고정부(430)는 본체(410)의 타단에 두께방향으로 돌출되
어 빔(100)의 측면에 걸린다. 예를 들어, 고정부(430)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워셔(431)와 워셔(431)를 본체
(410)의 타단에 분리하능하게 결합시키는 볼트(433)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볼트(433)로 워셔(431)를 본
체(410)의 타단에 결합하면, 워셔(431)가 본체(410)의 타단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어 체결홀(130)을 통과하지
못하고 걸린다. 다만, 고정부(430)는 반드시 워셔(431)와 볼트(433)로 구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410)의 타단에 플레이트(432)를 용접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결국, 본체(410)가 체결홀
(130)과 체결홈(340)을 관통한 상태에서, 헤드(420)와 고정부(430, 워셔(431) 또는 플레이트(432))가 체결홀
(130)을 통과하지 못하고 빔(100)의 측면에 걸린다. 따라서, 쇄기(400)는 체결홀(130)과 체결홈(340)에서 임의
로 분리되지 않으면서, 빔(100)의 길이방향과 수직으로 소정거리 이동이 가능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3 내지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쇄기(400)는 탄성지지부(440), 탄성부재(450),[0034]
및 단차(46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탄성지지부(440)는 헤드(420)로부터 본체(410)의 타단 방향으로 연장
되고, 탄성부재(450)는 예를 들어 코일 스프링을 이용할 수 있고, 탄성지지부(440)에 삽입/결합되어, 빔(100)의
측면과 접촉한다. 이와 같이, 탄성지지부(440)에 결합된 탄성부재(450)가 빔(100)의 측면과 접촉하여 가압하므
로, 쇄기(400)의 헤드(420)는 빔(100)의 측면으로부터 이격되고 쇄기(400)의 고정부(430)는 빔(100)의 측면에
걸린다. 이때, 쇄기(400)의 단차(460)는 탄성부재(450)와 마주보도록 본체(410)의 폭이 증가하면서 형성되고,
연결재(300)의 체결홈(340) 하단에는 단차(460)에 대응하는 위치에 돌출된 돌기(330)가 형성된다. 이러한 체결
홈(340)의 돌기(330)는 쇄기(400)의 단차(460)에 걸린다. 이와 같이, 체결홈(340)의 돌기(330)가 쇄기(400)의
단차(460)에 걸리므로(도 7(a) 참조), 연결재(300)는 쇄기(400)에 의해서 빔(100)에 고정될 수 있다. 다만, 탄
성부재(450)가 가압되도록 쇄기(400)의 헤드(420)를 연결재(300) 방향으로 밀면(도 7(b) 참조), 쇄기(400)의 단
차(460)가 이동하면서 체결홈(340)의 돌기(330)로부터 분리되므로, 연결재(300)와 쇄기(400)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도 7(b) 참조). 이 경우,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재(300)가 회동하면서, 연결재(300)의 걸림
부(310)가 지지부재(200)의 돌출부(210)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그 결과 빔(100)을 지지부재(20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한편, 지지부재(200)는 브라켓(500)만을 포함하거나(도 8a 참조), 브라켓(500)과 필러멍에(600)를 포함할 수 있[0035]
다(도 8b 참조). 여기서, 브라켓(500)은 슬라브의 최외각에 배치되어, 평면을 기준으로 폐루프를 이룰 수 있다.
이때, 브라켓(500)은 최종적인 구조물의 벽체를 건설하기 위한 유로폼이나 알폼 등 거푸집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필러멍에(600)는 브라켓(500)의 내측에서 빔(100)을 지지하는 것으로, 브라켓(500)을 가로지도록,
등록특허 10-1628024
- 8 -
양단이 상기 브라켓(500)에 결합된다.
여기서, 필러멍에(600)의 양단을 브라켓(500)에 결합하기 위해서,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키커[0036]
(510), 제2 키커(610), 및 링크(630)를 활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키커(510)는 브라켓(500)의 상측에 결
합되는 것으로, 2개의 제1 플레이트(520)가 마주보도록 상측으로 돌출된다. 또한, 제2 키커(610)는 필러멍에
(600)의 하측에 결합되는 것으로, 2개의 제2 플레이트(620)가 마주보도록 하측으로 돌출된다. 이때, 링크(630)
는 일단이 2개의 제1 플레이트(520) 사이에 체결되고, 타단이 2개의 제2 플레이트(620) 사이에 체결된다. 즉,
제1 키커(510)와 제2 키커(610)는 링크(630)에 의해서 체결되는 것이고, 결과적으로 브라켓(500)과 필러멍에
(600)는 제1,2 키커(510, 610)와 링크(630)에 의해서 결합되는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1,2 키커(510,
610)와 링크(630)는 제1,2 고정핀(640, 650)에 의해서 결합될 수 있다. 제1 키커(510)의 2개의 제1 플레이트
(520)와 링크(630)의 일단에는 제1 고정홀(645)이 형성되어, 제1 고정홀(645)에 제1 고정핀(640)이 체결되고,
제2 키커(610)의 2개의 제2 플레이트(620)와 링크(630)의 타단에는 제2 고정홀(655)이 형성되어, 제2 고정홀
(655)에 제2 고정핀(650)이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제1 고정핀(640)은 링크(630)의 일단 회동하지 않도록 제1
고정홀(645)에 용접될 수 있고, 그에 따라 필러멍에(600)가 브라켓(500)에 확실하게 지지될 수 있다. 반면, 제2
고정핀(650)은 링크(630)의 타단이 회동하도록 제2 고정홀(655)에 체결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제1 고정핀(640)
이 제거되면, 제2 고정핀(650)을 중심으로 링크(630)가 회동할 수 있다.
한편, 도 9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러멍에(600)는 2개가 구비되어 연결될 수 있다. 즉, 필러멍에(60[0037]
0)는 길이방향으로 연결된 제1 필러멍에(660)와 제2 필러멍에(670)를 포함하고, 제1 필러멍에(660)의 일단과 제
2 필러멍에(670)의 일단은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 필러멍에(660)와 제2 필러멍에(670)는 키커
숫(680)과 키커암(690)에 의해서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필러멍에(660)의 일단에는 키
커숫(680)이 결합되고, 제2 필러멍에(670)의 일단에는 키커숫(680)을 둘러싸는 키커암(690)이 결합된다.
따라서, 키커숫(680)과 키커암(690)을 체결함으로써, 제1 필러멍에(660)와 제2 필러멍에(670)는 연결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키커숫(680)은 하측으로 연장된 제1 숫연장부(681), 제1 숫연장부(681)로부터 제1 필러
멍에(660)의 타단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숫연장부(683), 및 제2 숫연장부(683)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제3 숫연
장부(685)를 포함한다. 또한, 키커암(690)은 하측으로 연장된 제1 암연장부(691), 제1 암연장부(691)로부터 제1
필러멍에(660)의 타단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암연장부(693), 제2 암연장부(693)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제3 암연
장부(695), 및 제3 암연장부(695)로부터 제1 필러멍에(660)의 일단 방향으로 연장된 제4 암연장부(697)를 포함
한다. 따라서, 제2 암연장부(693)는 제2 숫연장부(683)의 하면에 접촉하고, 제3 암연장부(695)는 제3 숫연장부
(685)의 측면에 접촉하고, 제4 암연장부(697)는 제3 숫연장부(685)의 말단에 접촉하면서, 키커암(690)이 키커숫
(680)을 둘러쌀 수 있다. 결국, 제1 필러멍에(660)와 제2 필러멍에(670)는 일직선으로 이어진 상태에서는 키커
암(690)과 키커숫(680)에 의해서 결합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키커암(690)과 키커숫(680)을 이용하므로,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필러멍에(660)와 제2 필러멍에(670)를 기울리면, 양자를 결합시키거나 해체할 수
있다. 즉, 제1 필러멍에(660)와 제2 필러멍에(670)를 손쉽게 결합시키거나 해체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0038]
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
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0039]
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부호의 설명
100: 빔 100a: 제1 빔[0040]
100b: 제2 빔 105: 공간
105a: 제1 공간 105b: 제2 공간
110: 잠금홀 115: 슬라이딩홀
117: 잠금부 118: 압박수단
119: 체결수단 120: 체결핀
125: 장공 130: 체결홀
등록특허 10-1628024
- 9 -
200: 지지부재 210: 돌출부
220: 목재 300: 연결재
310: 걸림부 320: 함몰부
330: 돌기 340: 체결홈
400: 쇄기 410: 본체
420: 헤드 430: 고정부
431: 워셔 433: 볼트
435: 플레이트 440: 탄성지지부
450: 탄성부재 460: 단차
500: 브라켓 510: 제1 키커
520: 제1 플레이트 600: 필러멍에
610: 제2 키커 620: 제2 플레이트
630: 링크 640: 제1 고정핀
645: 제1 고정홀 650: 제2 고정핀
655: 제2 고정홀 660: 제1 필러멍에
670: 제2 필러멍에 680: 키커숫
681: 제1 숫연장부 683: 제2 숫연장부
685: 제3 숫연장부 690: 키커암
691: 제1 암연장부 693: 제2 암연장부
695: 제3 암연장부 697: 제4 암연장부
도면
도면1
등록특허 10-1628024
- 10 -
도면2
등록특허 10-1628024
- 11 -
도면3
도면3a
등록특허 10-1628024
- 12 -
도면4
등록특허 10-1628024
- 13 -
도면5
등록특허 10-1628024
- 14 -
도면6
등록특허 10-1628024
- 15 -
도면7
등록특허 10-1628024
- 16 -
도면8a
도면8b
등록특허 10-1628024
- 17 -
도면9
등록특허 10-1628024
- 18 -
도면10
도면11a
등록특허 10-1628024
- 19 -
도면11b
등록특허 10-1628024
- 20 -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