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II. 사업의 내용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1) 산업의 특성
STC Life는 생명과학기업으로서 줄기세포 치료제개발, 유전자 메가니즘 연구개발, 유전자 치료제개발, 신약개발, 생활과학 화장품 연구개발, 농업생산성 향상에 대한 연구개발 등 연구중심의 기업입니다.
줄기세포는 스스로 증식하는 능력(self-renewal)과 조직세포로 분화되는 능력(potency)을 갖고 있으며, 생명과학 및 의료계의 지대한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줄기세포는 세포의 기능이상으로 나타나는 만성질환과 난치병의 치료뿐만 아니라 손상된 조직과 장기의 회복이 가능하기 때문에 인류에게 큰 희망이 되고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21세기에는 줄기세포 치료법이 일반화 될 것으로 생각하고 있으며, 그 희망에 부응하여 지금도 줄기세포 치료법은 계속 그 적용 범위를 넓혀가고 있습니다. 한국은 한때 줄기세포 연구의 최강국으로 부러움을 받았고, 새로운 줄기세포 치료법을 세계 최초로 개발하여 많은 관심을 끌었으나, 여러 불미스러운 일로 인하여 점차 관심이 줄어들어, 몇몇 분야에서 외국에 추월당하고 있는 실정이지만, 아직도 줄기세포 치료법의 연구개발 및 임상적용에서 세계 최상급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당사의 성체줄기세포 사업의 기술적 우위성은 크게 두가지 요소로 설명될 수 있습니다. 첫째, 당사의 부설연구소에서 개발중인 지방줄기세포를 이용한 질병치료방법 연구로 치료사례를 가지고 있습니다. 둘째, 제대혈줄기세포를 이용한 질병치료 방법 개발에 세계최고 수준인 (주)히스토스템의 전세계 독점판권을 보유하고 있고 질병치료 사례도 가지고 있으며, 이와 함께 당사는 줄기세포 및 유전자 등 관련특허를 국내특허등록 15건, 해외특허등록 6건, 해외특허출원 1건을 가지고 있습니다. 당사는 현재 이러한 줄기세포 및 유전자기술과 연구개발 경험을 바탕으로 현재 해외환자를 유치하여 시술을 하고 있으며, 이를 상품화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줄기세포에 대한 기술력을 화장품에 응용하여 현재 국내특허는 10건이 등록되어 있으며, 해외특허는 3건이 등록되고 4건이 출원중이며, 이러한 특허기술을 이용하여 피부노화지연용 화장품, 주름개선용 화장품, 땀에도 지워지지 않는 화장품, 피부탄력개선용 화장품 등의 차별화된 제품을 개발하여 판매하고 있습니다.
(2) 산업의 성장성 등
정부는 새로운 성장동력 마련을 위해 2006년부터 5년간 매년 2000억원씩 2010년까지 바이오산업(BT)에 총 1조원을 투자하여 바이오산업을 국민경제 성장엔진으로 육성키로 했습니다. 이를 통해 2010년 까지 20여개 일류상품을 개발, 바이오산업의 세계시장 점유율을 2004년 세계 14위에서 세계 7위로, 수출 8억8000만 달러를 100억 달러까지 높이기로 한바 있으며, 이를 위해 정부는 '바이오기술 상품화를 위한 산업화기술 개발(R&D)’, '세계시장 진출을 위한 인프라 구축’, '바이오산업의 경영 여건 개선'등 3대 정책목표를 제시하고 기술발전 로드맵 작성, 지역 바이오 센터 구축, 바이오 전문인력 양성, 민간 바이오 투자유도 등 12대 정책 과제를 담은 '바이오산업 3.12 프로젝트'가 제시되었습니다. 또한, 정부에서는 올해 정운찬 국무총리 주재로 '규제개혁위원회·관계장관 합동회의'를 열어 줄기세포가 화장품 원료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등 175개의 규제개혁 과제를 확정했습니다.
전세계 줄기세포시장은 2012년까지 약25% 정도의 CAGR을 보이며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 가운데 성체줄기세포시장은 50% 이상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최근 미국은 오바마정부의 "인간배아줄기세포연구의 자금지원과 정책지원허가서" 사인을 계기로 성체줄기세포 임상시장에 긍정적인 분위기를 조성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바이오산업은 고부가가치의 미래핵심산업으로의 고성장을 나타내리라 기대되는 산업입니다. 생명공학기술은 '바이오테크혁명'으로 불릴 만큼 전 사업에 대한 파급력이 크며 21세기 세계시장을 바이오테크 제품이 주도해 나갈 것이며, 첨단분야 중 높은 성장이 전망되는 미래유망분야입니다.
당사는 일찌기 줄기세포활성물질과 타사와 차별화된 특허기술을 이용한 자사제품(셀젠, CELL97.7F 등)을 출시하여 기존 화장품의 개념을 초월하여 새로운 개념의 화장품을 본격 시판 중에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새로운 흐름에 발맞춰 높은 기술력을 바탕으로 국내는 물론, 국외의 넓은 시장을 개척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
당사가 시행하는 성체줄기세포는 사회적측면에서 합법적인 형태로 운영될 경우에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습니다. 또한 산업의 특성상 기술력에 의해 미국, 유럽 등 세계시장을 상대로 사업을 전개할 수 있기 때문에 경기변동에 큰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줄기세포 치료법의 임상적용은 전세계적으로 초기단계이며 도덕적, 윤리적, 법적 제약이 심한 범주이기 때문에 법, 윤리적 규제가 상대적으로 적고, 사업화가 가능한 사업모델입니다.
화장품 시장은 전형적인 내수 산업으로 내수성장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2009년 국내 화장품 시장은 미국금융위기에 따른 경기침체로 인한 급격한 위축기를 벗어나 내수 회복세에 힘입어 업계 전반적으로 견조한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국내 화장품산업에서 프리미엄 화장품 브랜드가 차지하는 비중은 더욱 높아질 것으
로 전망되며, 이와 함께 사회 전반적으로 건강과 젊음, 그리고 행복을 함께 추구하는
웰빙문화의 확산으로 인해 피부노화를 지연시키는 기능성화장품과 자연주의 컨셉의
화장품, 동양적인 한방화장품 등이 화장품산업의 주요 영역으로서 성장할 것으로 전
망됩니다. 당사는 내수시장 뿐만아니라 해외수출시장에도 주력하고 있습니다.
(4) 경쟁요소
성체줄기세포는 분화가 끝난 조직속에 섞인 극소량의 줄기세포를 분리해 사용하므로 일부는 이미 실용화되고 있어 배아줄기세포에 비해 윤리적 규제에서 벗어나 있습니다. 줄기세포은행은 국내업체인 히스토스템과 아이코드 그리고 외국계인 Osiris가 맞춤형 줄기세포의 제공 및 기술제공 등을 통한 로열티수입으로 단기 사업화 모델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제대혈줄기세포를 이용한 질병치료 방법개발에 세계최고 수준인 (주)히스토스템의 전세계 독점판권을 보유하고 있고, 질병치료 사례도 가지고 있으며, 이와 함께 당사는 줄기세포 및 유전자 관련특허를 국내특허등록 15건, 해외특허등록 6건, 해외특허출원 1건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줄기세포 및 유전자 기술과 연구개발 경험을 바탕으로 현재 당사에서는 해외환자를 유치하여 시술하고 있으며, 이를 상품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줄기세포 치료제개발 및 유전자 치료제개발 등에 대한 우수한 기술력을 화장품에 응용하여 현재 국내특허는 10건이 등록되어있으며, 해외특허는 3건이 등록되고 4건이 출원중이며, 이러한 특허기술을 이용하여 피부노화지연용 화장품, 주름개선용 화장품, 땀에도 지워지지 않는 화장품, 피부탄력개선용 화장품 등의 차별화된 제품을 개발하여 판매하고 있습니다.
국내 화장품업계는 당사를 비롯해 아모레퍼시픽, LG생활건강, 코리아나, 한국화장품, 미샤, 더페이스샵 등의 국내업체와 L'Oreal, P&G, E.Lauder 등의 다국적기업이 치열한 경쟁을 하고 있으며, 저성장 경제, 글로벌화, 유통환경의 급변 등 불확실한 경제 환경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급변하는 소비자의 수요패턴 변화에 부합하는 신상품을 적기에 개발하는 능력과 강한 영업력, 브랜드 이미지 제고, 상품의 차별화와 고급화, 해외시장 진출 등은 향후 성장여부를 가늠하는 요인들로 볼 수 있습니다. 당사는 내수시장 뿐만아니라 해외수출시장에도 주력하고 있습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STC Life는 생명과학기업으로서 줄기세포 치료제개발, 유전자 메가니즘 연구개발, 유전자 치료제개발, 신약개발, 생활과학 화장품 연구개발, 농업생산성 향상에 대한 연구개발 등 연구중심의 기업입니다.
당사의 성체줄기세포 사업의 기술적 우위성은 크게 두가지 요소로 설명될 수 있습니다. 첫째, 당사의 부설연구소에서 개발중인 지방줄기세포를 이용한 질병치료방법 연구로 현재 50여건의 치료사례를 가지고 있습니다. 둘째, 제대혈줄기세포를 이용한 질병치료 방법 개발에 세계최고 수준인 (주)히스토스템의 전세계 독점판권을 보유하고 있고 질병치료 사례를 가지고 있으며, 당사에서는 줄기세포치료제 및 유전자 관련 등 국내특허등록 15건, 해외특허등록 6건, 해외특허출원 1건을 가지고 있습니다. 당사는 현재 이러한 줄기세포 기술과 연구개발 경험을 바탕으로 해외환자를 유치하여 시술을 하고 있으며, 이를 상용화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줄기세포 및 유전자 등 관련 기술력을 화장품에 응용하여 현재 국내특허는 10건이 등록되어 있으며, 해외특허는 3건이 등록되고 4건이 출원중이며, 이러한 특허기술을 이용하여 피부노화지연용 화장품, 주름개선용 화장품, 땀에도 지워지지 않는 화장품, 피부탄력개선용 화장품 등의 차별화된 제품을 개발하여 판매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화장품사업은 기존 화장품의 개념을 초월한 새로운 개념의 화장품으로, 세계특허를 획득하고 줄기세포 추출물을 함유한 기능성 화장품(셀젠, CELL 97.7F 등)은타사에 비교하여 차별화된 경쟁력을 가지고 있으며, 브랜드 이미지 제고 및 내수와 해외수출시장 등에 대한 마케팅에도 강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의 100% 자회사인 (주)에스티씨나라는 1992년 화장품사업부를 창설하고, 천안소재의 화장품공장을 인수하여 우수한 제품을 생산, 공급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하였습니다. 또한 유통채널 다변화에 따라 지속적으로 신규채널에 참여하면서 질적 역량강화를 위해 Brand Equity 제고와 적극적인 현장밀착 영업활동을 전개하여 성장을 도모하였습니다.
또한, 주름, 미백, 자외선차단 화장품, 땀에도 지워지지 않는 화장품, 피부탄력개선용 화장품 등 다양한 제품개발을 통해 국내 뿐만아니라, 해외수출시장으로 화장품 사업영역을 확장해가고 있습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소매업(자동차제외) 의약품, 의료용기구 및
화장품 소매업 화장품 및 화장비누 소매업
(2) 시장의 특성
줄기세포 치료시장은 심혈관질환을 포함한 각종질환, 정형학, 치학, 종양학, 에스테틱을 포함하며 대륙별로 보면 북미가 전체 대륙별 시장의 30% 이상의 시장을 점유하고 있는 등 선진국에서의 시장비중이 높습니다. 또한 화장품 산업은 인체를 청결, 미화하여 매력을 더하고 용모를 밝게 변화시키거나 피부, 모발의 건강을 유지 또는 증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목적을 가진 미래지향적 산업이며, 정밀화학의 전형적인 특징을 두루 갖춘 산업입니다. 따라서 줄기세포와 화장품산업은 공히 전반적인 노령화 추세, 건강한 생활에 대한 관심증가, 전문직종 종사자 증가 등 새로운 수요 창출과 시장형성이 기대되는 성장산업이며 수출산업으로 자리매김 할 기회와 여건이 우수한 산업입니다. 이러한 시장의 특성 중 화장품 산업을 살펴 본다면 다음과 같습니다.
1) 고부가가치산업
화장품산업은 정밀화학 공업의 일반적 특징인 고부가 가치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세계 유수의 각 기업간의 경쟁으로 수익성이 다소 약화되기는 했으나 제조업 전체와 비교해 볼 때 여전히 높은 수익구조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최근의 화장품 연구개발 동향은 피부과학에 근거한 세포수준 연구를 바탕으로 기능성 신소재의 개발 및 생리활성 효과가 우수하고 피부에 안전한 물질의 개발은 화장품기술 개발에 있어서 가장 큰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분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2) 전형적인 내수산업
인종별, 지역별 피부특성 및 화장문화의 차이로 인하여 화장품 공업은 대부분의 국가
에서 내수중심 산업으로 발전해 왔으며 우리 나라의 경우에도 1986년 이후 모든 화장품의 수입이 전면적으로 개방되었으나 아직까지 생산 및 소비의 대부분이 국내에서 이루어지는 전형적인 내수지향 산업체제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당사에서는 주름, 미백, 자외선차단 화장품, 땀에도 지워지지 않는 화장품, 피부탄력개선용 화장품 등 다양한 제품개발을 통해 국내 뿐만아니라, 해외수출시장으로 화장품 사업영역을 확장해가고 있습니다.
3) 다품종 소량생산 체제의 정밀화학산업
화장품은 다른 업종에 비해 기호성과 유행성이 강하며 제품의 생명주기가 짧기 때문
에 신제품 및 신상품의 개발이 빈번한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4) 독점적 경쟁시장
화장품시장은 독점적 경쟁시장, 즉 판매자 입장에서는 질적 차이가 주장되나 구매자
입장에서는 질적 차이가 인식되지 않는 시장 구조를 가지고 있어 포장방법, 대중광
고 등이 주요한 판매경쟁력이 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매출액대비 광고비 비율이 다른 산업에 비해 매우 높으며 이미지 구축을 위해
세계 각 기업간의 기술제휴 또한 연합상표의 사용이 많은 산업입니다.
5) 과점적 시장구조
화장품 시장의 과점적 시장구조는 세계적으로 각 화장품 제조회사의 경쟁이 심화되면서 운전자본 소유규모가 거대해지고 이에 따라 자금동원력이 양호한 상위기업들의 시장지배력이 강화된데서 기인합니다.
(3)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당사는 생명과학기업으로서 줄기세포 치료제개발, 유전자 메가니즘 연구개발, 유전자 치료제개발, 신약개발, 생활과학 화장품 연구개발, 농업생산성 향상에 대한 연구개발 등 연구중심의 기업입니다.
첫째, 줄기세포 및 유전자 관련분야는 제대혈줄기세포를 이용한 질병치료 방법개발에 세계최고 수준인 (주)히스토스템의 전세계 독점판권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당사에서는 질병치료 사례와 국내특허등록 15건, 해외특허등록 6건, 해외특허출원 1건을 가지고 있습니다. 당사는 이러한 줄기세포 등에 대한 우수한 기술력과 연구개발 경험을 바탕으로 해외환자를 유치하여 시술을 하고 있으며, 이를 상용화 하고 있습니다. 또한, 2010년 상반기에는 GMP생산시설을 확보할 예정입니다. 관련 사업분야가 본격적으로 활성화 될 경우 높은 매출실현이 기대됩니다.
둘째, 줄기세포 및 유전자 관련분야에 대한 기술력을 화장품에 응용하여 현재 국내특허는 10건이 등록되어있으며, 해외특허는 3건이 등록되고 4건이 출원중이며, 이러한 특허기술을 이용하여 피부노화지연용 화장품, 주름개선용 화장품, 땀에도 지워지지 않는 화장품, 피부탄력개선용 화장품 등의 기존 화장품의 개념을 초월한 새로운 개념의 화장품으로 차별화된 제품을 개발하여 판매하고 있으므로, 이또한 매출증가가 예상됩니다.
또한, 자회사인 (주)에스티씨나라, 2007년 12월 강남구 논현동 소재의 빌딩에 오픈한 줄기세포 치료센터와 연계하여 신약개발, 유전자연구, 고기능성 화장품, 줄기세포치료제의 연구 및 판매, 건강기능식품 등의 제품을 국내 및 세계시장 판매에 적극 진출하여 괄목할 매출증진을 기함은 물론 줄기세포치료센터의 MSO(경영지원 )사업을시작으로 향후 전문 브랜드를 가진 국내외 의료사업망을 구축하여 시술 노하우, 장비등을 공유할 예정입니다. 그리고 유럽, 미국 등 세계시장 진출을 위한 현지법인 및 관련기관들과의 의료기술과 환자유치에 대한 상호협력, 그 밖의 해외시장으로의 단계적 사업영역확대(줄기세포은행 등)로 인하여 시너지 효과를 발휘하고, 매출증대에 의한이익을 창출할 예정입니다. 그리고 각종 의료용품 판매 및 유통사업, 의료관광 여행사업 등 다양한 부대사업도 추진하고 있습니다.
(4) 조직도
이미지: 조직도
조직도
다. 자회사의 사업현황
(1) 자회사가 속한 업계의 현황
①화장품사업부문
화장품 산업은 인체를 청결, 미화하여 매력을 더하고 용모를 밝게 변화 시키거나 피부 모발의 건강을 유지 또는 증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목적을 가진 미래지향적 산업이며, 정밀화학의 전형적인 특징을 두루 갖춘산업입니다. 전반적인 노령화 추세, 건강한 생활에 대한 관심증가, 전문직종 종사자 증가 등 화장품 산업은 새로운 수요 창출과 시장형성이 기대되는 성장산업이며 수출산업으로 자리매김할 기회와 여건이 우수한 산업입니다. 이러한 화장품 산업의 특성을 살펴 본다면 다음과 같습니다.
- 고부가가치산업
화장품산업은 정밀화학 공업의 일반적 특징인 고부가 가치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근세계 유수의 각 기업간의 경쟁으로 수익성이 다소 약화되기는 했으나 제조업 전체와 비교해 볼 때 여전히 높은 수익구조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최근의 화장품 연구개발 동향은 피부과학에 근거한 세포수준 연구를 바탕으로 기능성 신소재의 개발 및 생리활성 효과가 우수하고 피부에 안전한 물질의 개발은 화장품기술 개발에 있어서 가장 큰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분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 전형적인 내수산업
인종별, 지역별 피부특성 및 화장문화의 차이로 인하여 화장품 공업은 대부분의 국가
에서 내수중심 산업으로 발전해 왔으며 우리 나라의 경우에도 86년 이후 모든 화장
품의 수입이 전면적으로 개방되었으나 아직까지 생산 및 소비의 대부분이 국내에서
이루어지는 전형적인 내수지향 산업 체제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 다품종 소량생산 체제의 정밀화학산업
화장품은 다른 업종에 비해 기호성과 유행성이 강하며 제품의 생명주기가 짧기 때문
에 신제품 및 신상품의 개발이 빈번한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 독점적 경쟁시장
화장품시장은 독점적 경쟁시장, 즉 판매자 입장에서는 질적 차이가 주장되나 구매자
입장에서는 질적 차이가 인식되지 않는 시장 구조를 가지고 있어, 포장방법, 대중 광
고 등이 주요한 판매경쟁력이 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매출액대비 광고비 비율이 다른 산업에 비해 매우 높으며 이미지 구축을 위해
세계 각 기업간의 기술제휴 또한 연합상표의 사용이 많은 산업입니다.
- 과점적 시장구조
화장품 시장의 과점적 시장구조는 세계적으로 각화장품 제조회사의 경쟁이 심화되면
서 운전자본 소유규모가 거대해지고 이에 따라 자금 동원력이 양호한 상위기업들의
시장 지배력이 강화된데서 기인합니다.
②건강기능식품사업부문
건강기능식품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정제ㆍ캅셀ㆍ분말ㆍ과립ㆍ액상ㆍ환 등의 형태로 제조ㆍ가공한 식품을 말하며, 여기서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는 것을 말합니다. 해외시장에서는 다음과 같은 사례로 인정되고 있습니다.
- 미국
일반식품(conventional food)이외에도 기능성 식품(functional food),특별식이용도 식품(foods for special dietary use), 의료용 식품(medical food), 식이보조제(dietar y supplement) 등이 인정되고 있다.
1.기능성식품
일반식품에 영양소를 보충하거나 건강에 유익하도록 설계된 식품이다.
2. 특별식이용도식품
영유아용, 임산부용, 수유부용 제품 등이다.
3. 의료용식품
특정환자를 위해 조제된 제품이다.
4. 식이보조제
외국의 사례 중 대한민국의 건강기능식품 개념과 유사하다. 식품성분 중 한 가 지 이상을 함유하면서 식사를 보충하는 식품으로 정제, 캅셀, 분말, 액상 등의 형태로 되어 있으며, 통상의 식품으로 사용되지 않고, 건강기능표시가 있는 것 이다.
- 일본
1. 기능성식품
식품성분이 갖는 생체방어, 생체리듬의 조절, 질병의 방지와 회복 등 생체조절기 능에 대하여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설계되고 가공된 식품을 말한다.
2.보건기능식품
특정보건용식품(foods for specified health use)
특정보건목적으로 섭취하는 자에게 해당 보건목적을 기대할 수 있다는 뜻을 표시 한 식품을 말한다.
3. 영양기능식품
신체의 건전한 성장, 발달 및 건강의 유지에 필요한 영양성분(단백질, 지방산, 무 기질, 비타민 등)의 보급과 보완을 목적으로 한 식품을 말한다.
- 유럽
1. 기능성 식품
적당한 영양학적인 효과 이상으로 다른 신체기능에 효과를 가진 식품을 말한다.
2. 보조식품
캅셀, 정제, 파우더 등의 형태로 일반적으로 팔리면서 특별한 효과를 가진 것으로 믿어지는 영양소나 다른 성분을 가진 식품을 말한다.
3. 강화식품
특별한 성분을 강화한 식품을 말한다
③바이오사업부문
- 고부가가치 미래핵심산업으로서의 고성장성
바이오산업은 향후 지속적인 고성장이 기대되는 산업입니다. 즉, 바이오기술의 응용 범위 확대, 기술간 융합 심화 및 산업화의 진전으로 바이오산업의 시장규모가 급속히 확대됨에 따라 첨단기술 신산업으로서의 성장가능성은 이미 판명나 있습니다. 특히 무엇보다 인간 건강, 식량 및 기아문제 해결, 환경보전, 에너지자원 등 인류가 해결하기 어려운 난제와 직결된 산업입니다.
- 인간의 질병극복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제공
바이오산업은 인류의 질병정복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유전체 기술 발달로 변이유전자의 작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암, 치매 등 난치병의 발생원인을 규명하고 예방 및 치료가 가능케 되며, 개개인의 유전적 차이에 따라 치료법을 적용하는 맞춤의술이 가능해져 인류의 수명을 획기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 지식집약적 첨단기술의 융합
바이오산업은 생물학, 의학, 생화학, 정보통신, 컴퓨터 등 다양한 기존 첨단기술이 함께 융합되어 새로운 발전의 도약을 이루게 됩니다. 특히, 우수한 해당 기술을 지닌 인적자원의 집중화가 요구됨으로 바이오센터, 집적도시, 대학, 클러스터 등에 바이오산업이 집적되는 성향을 보입니다.
- 안전성 및 생명윤리가 필수적인 요소
바이오산업은 해당 제품의 안전성 및 생명윤리가 필수적임은 물론 최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하는 산업으로서 유전자 조작기술, 동물복제기술 등은 지속적인 안전성과 윤리성에 대한 논의가 현재까지 진행 중에 있습니다.
- 신개념, 장기투자 산업
바이오산업은 기존산업과 같이 제품(Products) 기준이 아닌 바이오기술의 적용 여부에 기초하는 새로운 횡적 산업이며, 단적으로 1개 신약 개발을 위해서는 통상 10년 ~ 15년 이상이 소요되어 투자 회수기간이 긴 장기 투자산업입니다.
- 바이오산업의 국제동향
바이오산업을 미래 전략산업으로 육성하고 세계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국가 간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습니다. 현재 세계 바이오산업 시장을 선점하고 있는 미국, 유럽, 일본 등은 지속적인 연구개발과 산업화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기술개발과 산업화를 지원하는 공공부문의 투자를 확대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 바이오산업의 국내동향
1980년대에 바이오 부문에 대한 본격적 연구가 시작되었으며 우리나라 10대 차세대 성장동력산업에 바이오신약 및 장기부문이 포함되었으며 건강기능식품법률 제정 및 시행 등으로 국내 바이오관련 업체의 체계적인 관리시스템이 마련되는 추세에 있습니다.
(2) 자회사의 영업현황
당사의 자외사인 (주)에스티씨나라는 생명과학을 기초로 한 생활 신과학으로 선진문화를 창조한다는 목표 아래 연구, 생산, 유통이라는 삼위일체의 경영방침을 가지고 생명과학으로서의 축적된 연구력과 최첨단 생산공정 및 품질관리 시스템을 갖춘 제품생산력을 바탕으로 모회사인 에스티씨라이프를 통하여 생명과학 제품의 유통으로 이어지는 "연구에서 소비자까지" 그룹 계열사를 생명과학 마케팅을 영위함으로써 성공적인 글로벌 시장으로의 진입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밖에도 농업생명과학 연구분야에서 실내농업, 신약연구 분야에서 유전자 P62의
매커니즘 규명등 다른 방면에서도 혁혁한 성과가 가시화되고 있습니다
제대혈 줄기세포화장품 원료인 제대혈 유래줄기세포배양액으로부터 얻은 단백질을 ICID에 등재하기 위하여 2008년 6월 23일에 PCPC(국제화장품협회)에 신청한 바 있습니다.
2009년 2월 4일 INCI (국제 화장품 원료집)에 의해 상품명(Trade name) STC-CSM
(Human Cord Blood Cell Conditioned Media)로 명칭을 부여 받아 ICID(International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 )에 등재되어 있습니다.
STC-CSM에는 세포증식, 콜라겐 형성, 혈관생성, 피부 미백에 관여하는 여러 인자들이 함유되어 있어 이제까지의 화장품보다 효과 면에서 월등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당사는 제대혈 유래줄기세포의 성분들을 이용한 각종 주름예방 및 탄력 강화 화장품을 상용화하여 본격적으로 시판중에 있습니다.
- 고/복합기능성 화장품 개발 능력보유
미백, 아토피 피부용, 묻어나지 않는 화장품등 출시, 국제화장품원료집(ICID)에 ST C개발 물질 등록(STC KC-60)
(3) 자회사의 영업실적
(단위 : 천원)
회사명 매 출 액 매출총이익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주)에스티씨나라 2,475,530 479,918 (1,090,774) (2,037,810)
2. 매출에 관한 사항
가. 주요 상품 등의 현황
(2009.12.31 현재) (단위 : 백만원)
품 목 매출액(비율) 매출총이익(비율) 비 고
화장품,줄기세포 3,495(100%) 872(24.96%) -
나. 매출형태별 실적
(단위 : 백만원)
구 분 제 22 기 제 21 기 제 20 기
매출액 비 율 매출액 비 율 매출액 비 율
수 출 상품매출 223 6.38 36
0.85 3 0.08
제품매출 46 1.32 4 0.09 10 0.26
대행매출 - - - - - -
기 타 - - - - - -
소 계 269 7.70 40 0.94 13 0.34
내 수 상품매출 2,599 74.36 3,761 88.91 3,851 99.66
제품매출 584 16.71 217 5.13 - -
대행매출 - - - - - -
기 타 43 1.23 212 5.02 - -
소 계 3,226 92.30 4,190 99.06 3,851 99.66
합 계 3,495 100.00 4,230 100.00 3,864 100.00
다. 판매경로 및 판매방법 등
(1) 판매조직
화장품 사업 : 바이오 뷰티사업부 영업팀
(2) 판매경로
① 해외 Buyer - 직접판매
② 화장품 → 대리점, 백화점 → 수요자
(3) 판매방법 및 조건
직접수출 : 전신환 송금방식(T/T)
국내판매 : 현금판매
(4) 판매전략
화장품 사업부문의 매출액 증대를 위해 전국 대리점 추가개설 및 백화점 추가입점을 추진하고 있으며 해외현지법인과 제휴를 통하여 해외시장개척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3. 영업설비 등의 현황
가. 영업용 설비 현황
(1) 국내
(단위 : ㎡, 명)
구 분 소재지 토 지 건 물 합 계 비고
본사 충남 천안 - 165.29㎡ 165.29㎡ 임차
지사 서울 강남 - 1,590.09㎡ 1,590.09㎡ 임차
합 계 - 1,755.38㎡ 1,755.38㎡ -
(2) 해외
- 해당사항 없습니다.
(3) 신규 지점 등의 설치계획
- 해당사항 없습니다.
나. 기타 영업용 설비
- 해당사항 없습니다.
다. 설비의 신설ㆍ매입 계획 등
- 줄기세포치료제 생산
(GMP시설 및 장비).
4. 파생상품 등에 관한 사항
가. 파생상품계약 체결 현황
- 해당사항 없습니다.
나. 리스크 관리에 관한 사항
- 해당사항 없습니다.
5. 경영상의 주요계약 등
- 해당사항 없습니다.
6. 연구개발활동
가. 연구개발활동의 개요
당사는 자회사인 에스티씨 나라와 연계하여 생명과학기술 분야의 연구인력을 통하여
연구개발한 신약, 유전자, 줄기세포마케팅, 고기능성 화장품, 건강기능식품, 첨단 농
업기술 제품을 국내에서 제조/판매함은 물론 미국, 일본, 유럽, 중국등 세계시장 판매
에도 적극 진출하여 괄목할 매출증진을 기함은 물론, 단기간내에 흑자를 실현하고,
이러한 토대위에 우량한 재무구조를 갖춘 기업으로 전환할 계획입니다.
(1) 연구개발 담당조직
- 자회사인 (주)에스티씨나라의 생명과학연구소 : 생활과학연구소, 신약개발 연구소, 농업생명과학연구소
(2) 연구개발비용
(단위 : 천원)
과 목 제22기 제21기 제20기 비 고
원 재 료 비 56,545 28,318 - -
인 건 비 - - - -
감 가 상 각 비 - - - -
위 탁 용 역 비 - - 3,227,273 -
기 타 - - - -
연구개발비용 계 56,545 28,318 3,227,273 -
회계처리 판매비와 관리비 56,545 28,318 - -
제조경비 - - - -
개발비(무형자산) - - 3,227,273 -
연구개발비 / 매출액 비율
[연구개발비용계÷당기매출액×100] 1.6% 0.7% 83.5% -
나. 연구개발 실적
(1) 신약연구소
1. 특허등록 (21건) : (국내 15건, 해외 6건)
- 국내 특허등록 제0317743호 (2001)
: 신규의 백금(IV) 착제 및 그 제조방법
- 미국 특허등록 제6340770호 (2002)
: Platinum(Iv) Complex Used as Anti-Cancer Agent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 일본 특허등록 제3354532호 (2002)
: Platinum(Iv) Complex Used as Anti-Cancer Agent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 국내 특허등록 제0466623호 (2005)
: 피부재생 및 피부노화 지연효과를 가지는 콤부챠 발효 배양액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 국내 특허등록 제0526631호 (2005)
: 모노아민산화효소 저해 활성을 갖는 상심자 추출물을 함유한 조성물 (식품 조성물)
- 국내 특허등록 제0526628호 (2005)
: 모노아민산화효소 저해 활성을 갖는 상심자 추출물을 함유한 조성물 (약제학적 조성물)
- 국내 특허등록 제0526629호 (2005)
: 모노아민산화효소 저해 활성을 갖는 금은화 추출물을 함유한 조성물
- 국내 특허등록 제0526630호 (2005)
: 모노아민산화효소 저해 활성을 갖는 꿀풀 추출물을 함유한 조성물
- 국내 특허등록 제0537914호 (2005)
: 감꼭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및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국내 특허등록 제0561251호 (2006)
: 모노아민산화효소 저해 활성을 갖는 발아콩 추출물을 함유한 조성물
- 국내 특허등록 제0564904호 (2006)
: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매 예방 또는 치료 및 인지 기능 개선용 조성물
- 국내 특허등록 제0579813호 (2006)
: 피페리딘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치매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국내 특허등록 제0586307호 (2006)
: 비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및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중국 특허등록 제ZL02820467.0호 (2007)
: Piperidine Derivatives,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Alzheimer's Disease Containing the Same
- 국내 특허등록 제0769302호 (2007)
: 생약성분 추출물을 함유하는 상처치유 및 피부 소양증 치료 및 개선효과를 갖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 국내 특허등록 제0772575호 (2007)
: 생약성분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 미국 특허등록 제7288552호 (2007)
: Piperidine Derivatives,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Alzheimer's Disease Containing the Same
- 국내 특허등록 제0795225호 (2008)
: 독일붓꽃, 병풀, 케모마일, 달맞이꽃 및 어성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을 위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 국내 특허등록 제0811066호 (2008)
: 발효된 혼합곡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완화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 일본 특허등록 제4179468호 (2008)
: Piperidine Derivatives,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Alzheimer's Disease Containing the Same
- 유럽 특허등록 제1446400호 (2009)
: Piperidine Derivatives,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Alzheimer's Disease Containing the Same
(2) 특허출원 중(1건)
- 국내 특허출원 (출원번호 10-2008-0091076) (2008)
: 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료
2) 생활연구소
(1) 특허등록(9건) : (국내 6건, 해외 3건)
- 미국 특허등록 제5462737호 (1995)
: Chemical composition for lipstick sealant
- 국내 특허등록 제0366949호 (2002)
: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 국내 특허등록 제0392610호 (2003)
: 모발 성장 촉진제 조성물
- 미국 특허등록 제US6596263호 (2003)
: Cyclodextrin compositions
- 국내 특허등록 제0439426호 (2004)
: 동물성 플랑크톤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 국내 특허등록 제0513659호 (2005)
: 식물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국내 특허등록 제0784486호 (2007)
: 피부 타이트닝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타이트닝 방법
- 국내 특허등록 제0797072호 (2008)
: 묻어남을 방지하고 지속력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 일본 특허등록 제4152102호 (2008)
: Hair Growth-Promoting Agent Composition
(2) 특허출원(4건) : (해외 4건)
- 미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11/718,447, PCT 출원: PCT/KR2006/003123, 2006) (2007)
: Cosmetic Compositions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Transfer-Resistant and Long-Wearing
- 미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12/522,401, PCT 출원: PCT/KR2007/000199, 2007) (2009)
: Cosmetic Compositions For Skin-Tightening And Method Of Skin-Tightening Using The Same
- 일본 특허출원 (출원번호 2009-545477, PCT 출원: PCT/KR2007/000199, 2007) (2009)
: Cosmetic Compositions For Skin-Tightening And Method Of Skin-Tightening Using The Same
- 중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2007 8005 2033.9, PCT 출원: PCT/KR2007/000199, 2007) (2009)
: Cosmetic Compositions For Skin-Tightening And Method Of Skin-Tightening Using The Same
구 분 신약연구소 생활연구소 합계
등록 국내 15 6 21
해외 6 3 9
출원 국내 1 0 1
해외 0 4 4
- 합계 22 13 35
7. 기타 투자의사결정에 필요한 사항
가. 외부자금조달 요약표
[국내조달] (단위 : 백만원)
조 달 원 천 기초잔액 신규조달 상환등감소 기말잔액 비고
은 행 - - - - -
보 험 회 사 - - - - -
종합금융회사 - - - - -
여신전문금융회사 - - - - -
상호저축은행 - - - - -
기타금융기관 - - - - -
금융기관 합계 - - - - -
회사채 (공모) - 995 - 995 -
회사채 (사모) - - - - -
유 상 증 자 (공모) - 999 - 999 -
유 상 증 자 (사모) - - - - -
자산유동화 (공모) - - - - -
자산유동화 (사모) - - - - -
기 타 - - - - -
자본시장 합계 - 1,994 - 1,994 -
주주ㆍ임원ㆍ계열회사차입금 - - - - -
기 타 - - - - -
총 계 - 1,994 - 1,994 -
(참 고) 당기 중 회사채 총발행액 공모 : 995 백만원
사모 : - 백만원
- 해당사항 없습니다.
[해외조달] (단위 : 백만원)
조 달 원 천 기초잔액 신규조달 상환등감소 기말잔액 비고
금 융 기 관 - - - - -
해외증권(회사채) - - - - -
해외증권(주식등) - - - - -
자 산 유 동 화 - - - - -
기 타 - - - - -
총 계 - - - - -
- 해당사항 없습니다.
나. 최근 3년간 신용등급
평가일 평가대상
유가증권 등 평가대상 유가증권의
신용등급 평가회사
(신용평가등급범위) 평가구분
- - - - -
다. 기타 중요한 사항
- 해당사항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