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카테고리 없음

서울관광마케팅

끝까지가보는거야 2017. 10. 13. 07:56

 


II. 사업의 내용

1. 업계의 현황
고용 없는 성장시대에 관광은 노동집약적 산업으로 정부는 물론 서울시의 주요 신 성장동력 산업으로 육성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세계적인 경제 불황으로 세계 관광산업은 2007년 7% 성장에서 2008년 2% 성장에 그쳤습니다 (UNWTO자료). 따라서, 2009년은 성장률 0% 혹은 마이너스(-2%)를 기록할 것으로 UNWTO는 전망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우리나라는 원화약세에 힘입어 주변국 방문객이 증가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2009년 1월~12월 누계 외래관광객 수는 7,817,533명으로 전년동기 대비 13.4%의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경기침체와 신종플루라는 악재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는 비교적 적은 환자발생과 인접국인 중국과 일본의 장기 연휴가 있어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가. 마케팅 및 관광홍보사업

2009년 1월~12월 누계 외래관광객 수는 7,817,533명으로 전년동기 대비 13.4%의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일본시장은 신종플루 영향이 미비하고, 환율도 100엔당 1300엔을 유지하고 있어 1월~12월 누계 3,053,311명으로 전년대비 28.3%의 성장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전체시장의 39%차지) 중국은 8월 이후 신종플루에 대한 중국내 우려가 감소되고 7~8월간 위축되어 있던 잠재 관광객 수요가 확대됨으로써 8월 이후 관광객 입국이 확대되어 1월~12월 누계 1,342,317명으로 전년대비 14.9% 성장하였으며(전체시장의 17.2% 차지), 대만시장은 1월-12월 누계 380,628명으로 전년대비 18.8% 성장하였습니다(전체 시장의 4.8% 차지).

 

나. MICE(컨벤션) 산업

일반 관광객보다 2.7배의 직접소비를 창출하는 MICE(Meeting-기업회의, Incentice-인센티브 투어, Convention-국제회의, Exhibition-전시)라 일컫는 본 산업은 굴뚝없는 황금산업 또는 관광산업의 꽃이라 일컬어지며 고부가가치형 서비스산업으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컨벤션산업 각종 전문 단체 및 기구의 국제회의나 전시박람회 개최를 통하여 친목 도모 및 최신정보와 지식 교류의 활성화를 도모하는 장이 되고 있으며, 참가자에게 개최지 이미지를 홍보하는 등 새로운 마케팅 전략산업으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이에 중앙정부는 지난 2월에 MICE산업을 17대 신성장동력산업으로 지정하여 적극 육성할 계획이며 이와 관련된 법령으로는 문화체육관광부의 국제회의산업 육성에 관한 법률, 지식경제부의 전시산업발전법, 서울시의 국제회의산업 육성에 관한 조례 등이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한국관광공사 MICE뷰로 그리고, 컨벤션센터들이 설립된 각 지자체에 컨벤션전담기구들이 설립되어 MICE산업 육성 및 지원에 힘쓰고 있습니다.

 

다. 관광자원 및 편익시설 개발사업

최근 세계 관광산업의 동향은 전통적인 가족휴양관광보다 커플 또는 단독 여행객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성인위주의 환경, 모험성 여행 상품에 대한 수요가 확대되고 있고 시간과 경제적 여유가 있는 노년층의 실버시장이 증가하여 고품격, 건강관련 관광상품에 대한 수요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또한 IT기술의 발달로 개인화, CRM구축 등으로 효율적인 여행이 가능해지고 있고 관광객의 복잡하고 다양한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관광인프라는 관광지와 도시의 복합, 정주형 관광지 등의 대규모 메가 리조트형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한편, 국내는 주 5일제 등 잉여시간의 증가로 체류중심의 체험여가형태와 문화/예술/레포츠/건강 등의 이벤트와 연계된 관광수요가 확대될 전망입니다. 또 와인세대, 매스티지족, 슬로비족, 로하스족, 디지로그의 확산 등 신소비 시장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를 반영하여 국내 관광인프라도 웰빙, 레저, 엔터테인먼트, 유통 등의 다양한 시설이 혼합된 테마시설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2. 회사의 현황
가. 영업개황

세계적인 경기침체 및 신종 인플루엔자 확산에도 불구하고, 100엔당 평균 1,300원대를 유지한 엔고의 유인력을 바탕으로 한 일본인 관광객의 증가와 2009년 7월 방한 중국인 개별관광객에 대한 비자 간소화 조치 등에 힘입어, 2009년 1월~12월 누계 방한 외래관광객 수는 781만명으로 2008년 689만명 대비 13% 내외로 성장하였습니다. 반면, 출국자수는 2009년 949만명으로 2008년 1,200만명 대비 -20% 내외의 감소세를 보였습니다.

 


일본 및 중국 관광객은 2008년 354만명에서 2009년 439만명으로 24% 성장하였으며, 전체 관광객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51%에서 56%로 증가하여 대만 (38만명)을 포함하면, 일본 및 중국, 대만시장이 전체비중의 61%에 달하는 핵심 전략 지역임을 입증하였습니다.

 


서울관광마케팅(주)는 도시 마케팅 전문기구로서, 전략적·역동적인 마케팅을 통해 서울시 관광 경쟁력을 증진시키고 외래 방문객 유치를 확대하기 위해 마케팅 및 관광홍보사업, 컨벤션 사업, 온라인 관광사업 및 투자개발 사업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1) 마케팅 및 관광홍보사업

당사의 관광마케팅본부는 차세대 성장 동력인 관광산업 육성 및 활성화를 위해 해외 관광마케팅 추진, 관광상품 개발 및 활성화, 외국인 유치환경 개선 등 공익성 사업을 서울시로부터 위탁받아 추진하고 있습니다. 부문별 추진실적 및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 해외 관광마케팅 강화

당사는 외래관광객 유치 확대 및 서울의 브랜드 인지도 제고를 위해, 약 56%의 점유율을 차지하는 주요 핵심시장인 일본 및 중국시장을 중심으로 각 지역별 특성에 맞는 타깃 마케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일본 및 중화권 주요도시 순회설명회 개최를 통한 관광업계 미디어 관계자 대상 현지 밀착형 마케팅 및 국내외 관광교역전 참가를 통한 적극적인 서울 홍보 등 공격적인 해외 마케팅활동을 추진하였고 서울시장 주최로 일본 오사카 및 중국 절강성에서 현지 여행업계, 언론관계자를 대상으로 한 ‘글로벌 관광도시 서울’의 새로운 매력에 대해 프로모션을 추진하여, 현지 관광업계가 큰 관심을 보였으며, 국내 관광업계와 현지 여행사와의 교류의 장인 트래블마트 운영을 통해 민·관 공동 마케팅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습니다.

 

또한, 약 11만명이 참관하는 일본 도쿄 JATA세계여행박람회, 아시아최대 소비자대상 관광상품 판매 박람회인 대만 ITF, 중국 최대 박람회인 곤명 CITM 등 각 시장별 최대 여행박람회 참가를 통해 관광 서울을 적극 홍보하였습니다. 또한, 수학여행단체, 기업 인센티브 단체, 노인교류단체 유치를 연중 추진하여 실질적인 외래관광객 유치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나) 서울브랜드 인지도 제고 및 글로벌 마케팅

당사는 관광목적지 서울의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기 위하여 2010년 한국방문의해 사업을 서울시, 문화부, (재)한국방문의해위원회와 함께 추진하고 있으며, 해외네트워크를 통해 전략적으로 홍보하여 신규 외래 방문객 유치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특히 2010년은 세계디자인수도서울, G20 세계정상회의 등 대규모 행사와 더불어 ‘2010 한국방문의 해 - 서울과 함께’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축제 및 이벤트, 방문맞이캠페인, 방문의해 홍보사업등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쇼핑 도시 서울의 위상을 확립하기 위한 서울그랜드세일을 추진하고 있으며, 서울의 매력적인 관광자원을 판매할 수 있는 비즈니스 트래블마트와 함께 개최된 ‘서울관광대상’, 글로벌 기업과 제휴 마케팅을 통해 서울을 효과적으로 알림과 동시에 예산을 절감할 수 있는 ‘민간제휴 마케팅’, 한식의 세계화와 더불어 서울을 미각의 도시로 알리고자하는 ‘한식테이블’ 등의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다) 해외방문객 유치기반 조성

이 부문에서는 서울의 관광경쟁력 제고 및 외국인 관광객 유치 활성화를 위해 ‘이노스텔’ 사업을 역점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이노스텔’의 브랜드 이미지 통합 및 제고, 외국인 관광객 유치 활성화를 위한 공동 마케팅 추진, 각 업소의 경쟁력 제고 및 운영 활성화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또한 의료분야를 관광과 접목하여 고부가가치 외래관광객 유치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는 ‘의료관광 활성화’ 사업은 건강검진, 치과, 피부, 한방, 성형 등 5개의 특화된 분야의 관광 경쟁력을 높이고 이를 해외에 적극 마케팅 하여 신규 외래방문객 창출에 한 몫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에 구축된 서울의료관광종합지원센터에서 체지방 검사, 치아 미백 검사, 성형 시뮬레이션 체험, 피부나이 측정 등과 같은 체험을 제공하여 의료서비스를 보다 쉽게 접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이는 잠재 의료관광 고객을 유인하는데 기여하게 될 것입니다.

 

2) MICE산업 육성사업

일반관광객보다 2.7배의 직접소비를 창출하는 컨벤션산업은 굴뚝 없는 황금산업 또는 관광산업의 꽃이라 일컬어지며 고부가가치형 서비스산업으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이에 중앙정부는 2009년 2월 MICE산업(Meeting, Incentive Travel, Convention, Exhibition)을 17대 신성장 동력산업으로 지정하여 적극 육성 중에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한국관광공사 MICE뷰로 그리고, 컨벤션센터들이 설립된 각 지자체에 컨벤션전담기구들이 설립되어 MICE 산업 육성 및 지원에 힘쓰고 있습니다.

 


당사 컨벤션뷰로본부는 다수의 컨벤션을 유치하여 서울의 컨벤션산업을 육성하는데 주 임무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위해 국내외 컨벤션 유치?개최 지원사업과 해외 네트워크 확대 및 해외마케팅 업무, 그리고 전문인력 양성을 전담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유치개최 지원 서비스를 맞춤형으로 강화하여 2009년 대형컨벤션 20건을 유치 성공하여 외국인 3만여명 방한예정으로 약 1,700억원의 생산유발효과를 창출하여 서울의 컨벤션 산업에 큰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또한 외국인 전문가 1:1 발표교정 등 유치 클리닉 서비스를 국내 최초로 실시하여 100% 유치성공률을 달성하였으며 (총 5회 실시 5건 유치성공) 지역 컨벤션뷰로 최초 해외 설명회를 실시(2년 연속 Best Function 상 수상)하고 해외 7대 MICE 박람회에 참가하여 해외 바이어와 약 300여건의 컨벤션 유치 상담을 실시하였습니다.

 


또한 아시아 최초로 국제기구인 MPI(국제 컨벤션기획사협회)의 한국지부를 설립하였으며 해외에서만 실시되던 CMP (국제 컨벤션기획사 자격증) 시험을 서울에서 실시하여 6명의 합격자를 배출하는 등 글로벌 컨벤션 전문인력 양성에도 앞장서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200여명에 불과하던 서울컨벤션자원봉사단 가입자를 1천명으로 확대하였으며 서울에서 개최되는 다양한 국제행사에 이와 같은 전문인력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또한, 컨벤션산업계로 진출하고자 하는 학생 및 취업자를 위한 서울 MICE 아카데미를 개최하여 전년대비 4배수의 교육생을 배출하여 다수의 수료자가 업계로 진출하고 있습니다.

 


그 외에도 한국 및 서울을 대표하는 국제적 브랜드의 MICE 대표상품 개발을 위해 ‘한국 MICE 박람회’을 향후 3년간 서울로 유치하는데 성공하였고 국내 컨벤션전담기구 최초로 MICE 산업 전반을 지원하기 위하여 ‘서울유망전시회’ 로 5개 전시회를 선정하여 지원하는 등 10여개의 기업회의를 발굴하고 1,000여개 이상의 유치 DB를 구축하였습니다.

 


2010년도에는 서울에서 G20 정상회의, World Design Capital(세계디자인수도), '한국방문의 해 서울과 함께’등이 개최되어 MICE 산업에 여러 호재가 예상되므로 서울의 국제적 컨벤션도시 이미지를 국내외로 제고하고 홍보할 수 있도록 다양한 사업을 전개할 예정입니다.

 

3) 온라인 관광사업

최근 국내에 확산되고 있는 스마트폰 중심의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은 개인별 전용 콘텐츠를 주고받는 Open Market인 App Store와 같은 이용자 중심의 자발적인 거래를 빠르게 확산시키고 있습니다. 다기능을 보유한 스마트폰은 전체 휴대폰 시장의 24%를 차지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습니다. (정보통신위원회, 2010년 사업계획 보고) 또한 관광 및 문화에 대한 콘텐츠 거래는 온·오프라인 상의 문화공간·관광의 상호발전(Co-evolution)을 가져오고 있습니다.

 


이처럼 정보통신 기술과 문화관광콘텐츠의 접목은 새로운 문화관광참여의 기회 증대, 문화관광활동에 대한 이해 폭의 증가, 온라인 활동을 통한 문화관광의 간접체험, 쉽고 편리한 문화관광콘텐츠의 접근 기회 제공 등의 긍정적인 효과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특히 세계 최고 수준의 유무선인터넷 환경을 보유한 우리나라의 경우는 기술 발전에 따라 문화관광활동에 상당한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u-Tour 서비스를 기반으로 하는 디지털 관광서비스의 체험을 통해서 공급자 중심이 아닌 이용자 중심의 관광산업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들어가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예상합니다.

 


당사 e-Biz 팀에서 추진하는 사업은 서울시로부터 위탁받은 u-Tour 사업의 구축 및 운영, u-Portal 구축 및 운영, 온라인 마케팅 사업 등으로 구분됩니다.

우선 u-Tour 사업은 2009년부터 전략적 파트너인 KT와 함께 준비하고 있는 새로운 유무선 통합 디지털 관광정보 서비스입니다. 서울에 대한 다양한 관광정보 콘텐츠를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국어, 영어, 중국어(간/번체), 일본어로 번역 및 관리하고 이 콘텐츠들을 휴대가 간편한 휴대폰(스마트폰), 개인용 PC, 서울시내에 설치된 Kiosk와 같은 다양한 채널에서 관광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특히 어떤 채널을 이용하더라도 사용자는 이전에 사용한 정보와 결과에 대해서 확인하고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합니다. 휴대폰(스마트폰)의 경우는 현재 관광객이 있는 위치를 자동적으로 인식하여 현재 이용자의 위치를 중심으로 식당, 숙박, 관광명소 등 11개 카테고리로 분류하여 관광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지난 해 12월 23일부터 상용테스트를 목적으로 인천, 김포, 도심공항터미널에서 임대 운영 중이며, 주 평균 약 250대가 임대되어 관광객들이 이용하고 있습니다. 상용서비스는 2010년 4월중 시작할 예정이며, 이에 따른 준비 작업을 진행 중에 있습니다.

 


u-Portal 구축 및 운영 사업은 u-Tour 사업의 일환으로서 유무선 인터넷 환경에서 보다 쉽고 간편하게 이용자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기존의 visitseoul.net 을 온라인 웹과 모바일 웹으로 구분하여 개발하는 사업으로 현재 4월 서비스 오픈을 목표로 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온라인 마케팅사업은 해외에 있는 온라인 포털 및 미디어 채널을 활용하여 서울에 대해서 알리고 체험할 수 있는 디지털 콘텐츠 제공 및 이벤트를 진행하는 사업으로서 현재 서울시와 사업 추진 방안에 대해서 협의를 진행 중에 있습니다.

 

4) 관광자원 및 편익시설 개발사업

당사 관광사업개발본부가 추진하는 사업은 관광객이 먹고, 즐기고, 쉴수 있는 관광인프라 확충 및 시설운영등 관광자원 및 편익시설을 꾸준히 개발하여 세계관광시장에서 경쟁력을 제고하고 동시에 국내관광수요를 충족시키고자 합니다.

 

가) 관광인프라 확충 및 시설운영

서울시내 외래 관광객들의 이용편의를 위하여 다양한 관광객의 요구에 맞출 수 있는 관광인프라를 확충하고 운영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서울의 문화적 정체성을 드러낼 수 있는 상징물을 개발하여 국내외 고객들에게 전달하려는 목적으로 서울우수관광기념품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서울우수관광기념품 공모전을 주관하여 다양한 우수관광기념품을 발굴하고 국내외 전시회 참가를 통해 적극적으로 홍보를 펼치고 있으며, 서울관광상품판매관을 운영하며 공모전 우수작품의 판로개척 및 판매량 증대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나) 4계절 테마파크 수피아 운영

한강시민공원 뚝섬과 여의도지구에 있는 야외수영장이 한강르네상스 프로젝트에 따라 수영장이라는 기능적인 면을 뛰어넘어 놀이와 문화가 강조된 공간으로 새롭게 탈바꿈하게 되었습니다. 당사는 서울특별시 한강사업본부의 ‘한강공원 특화지역(뚝섬ㆍ여의도) 야외수영장 위ㆍ수탁 관리ㆍ운영’ 사업자 모집공모에서 사업자로 선정되어 2009년 7월 말부터 운영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야외수영장을 ‘4계절 테마파크 수피아(SUPIA)’라고 명명하여 이 공간이 단순히 수영장에 머물지 않고 4계절 내내 시민들에게 즐거운 문화공간이 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에 따라 2009년 7월~8월 기간에는 수영장을 운영하였고 10월~11월 기간에는 어린이 놀이터인 키즈랜드를, 12월~2010년 2월까지는 눈썰매장을 포함한 겨울철 놀이시설인 화이트 페스티벌로 운영 중에 있습니다. 앞으로 더욱더 다양한 프로그램을 준비하여 4계절 테마파크 수피아가 한강의 명소로써 한강이 세계적인 명소가 되는데 큰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선보일 예정입니다.

 


다) 한강교량(한남ㆍ양화) 전망카페 운영

한강 르네상스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추진된 한강교량 전망카페 중 한남대교 전망카페 1개소(카페 레인보우)와 양화대교 전망카페 2개소(카페 아리따움 양화, 카페 아리따움 선유)가 한강을 관광명소화하기 위한 시민 여가 공간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한남대교 전망카페 ‘카페레인보우’는 자전거를 모티브로 한 여가휴식공간으로서 휴식 및 전망대 기능뿐만 아니라 서울의 다양한 여가관광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양화대교 전망카페 ‘카페아리따움 양화’와 ‘카페아리따움 선유’는 ‘동양’과 ‘서양’을 인테리어 컨셉으로 하는 디저트카페와 베이커리카페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한남과 양화대교 전망카페는 기획전시, 특별 이벤트 등 시민에게 다양한 체험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마케팅 활동을 병행하고 있으며, 향후 당사의 한강관련 추진사업과 연계하여 더욱 활성화시킬 예정입니다.

2009년 오픈 이후 현재까지 총 6,500명 이상이 한남 및 양화전망카페를 방문하였고(2010.3.21기준) 이용객이 증가 추세에 있습니다. 2009년은 국내 최초로 조성된 한강교량 전망카페라는 관광여가문화시설을 시민들에게 알리고 당사의 사업추진 및 확장의 발판을 마련한데 의미가 있으며, 2010년 이후에는 더욱 효율적인 운영과 생산적인 마케팅 활동을 알리고 더 많은 시민과 관광객이 찾는 명소로 자리매김함과 동시에 보다 많은 수익창출을 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경주할 것입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사업부문 사업의 내용 비 고
마케팅 및 관광홍보사업 관광마케팅사업
서울 관광상품 개발
관광홍보 및 관광객 유치
관광에 관한 각종 국내외 협력
 
컨벤션사업 컨벤션 유치 지원 사업
컨벤션 관광상품 개발
컨벤션 해외마케팅 사업
 
투자유치사업 관광사업개발에 따른 유치
민간 및 외자 유치위한 프로젝트 개발
 
관광자원 및 편익시설 개발사업 관광단지 조성과 관리운영
관광자원 및 관광지 개발
쇼핑, 공연장, 위락시설 등 관광시설개발사업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위탁한 업무
 
 


다. 시장점유율 등
도시간의 경제, 문화적 경쟁에서 관광은 매우 중요한 분야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당사는 이러한 추세에 발맞춰 도시 마케팅 전문기구로서, 전략적·역동적인 마케팅을 통해 서울시 관광 경쟁력을 증진시키고 외래 방문객 유치를 확대하기 위해 관광 마케팅 사업 및 관련 투자개발 사업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에 국내 시장 점유율의 합리적 추정이 곤란하며 의미 있는 수치의 계산이 불가능합니다.

 

라. 신규사업등의 내용 및 전망

1) 컨벤션사업

당사는 시와 긴밀한 협조를 통해 서울의 컨벤션 인프라를 활용하여 서울의 컨벤션산업을 진흥시키기 위한 모든 역량을 결집하여 세계일류 비즈니스 도시로서의 서울의 이미지와 위상을 강화시켜 2015년 세계 5위의 컨벤션 도시로 성장하고자 합니다. 구체적인 사업 내용으로는 서울의 컨벤션산업 활성화를 위하여 해외에서 컨벤션 유치 활동을 진행하고, 서울시에서 개최되는 컨벤션 주최자에 대한 재정 및 행정 지원사업을 하는 공익기관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2010년에는 서울시와 82억원의 대행협약을 맺어 서울시 컨벤션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5대 과제인 컨벤션 유치증대, 해외 마케팅 강화, 신규시장 개척, 전문인력 양성, 서울대표 MICE상품 개발 등을 위한 세부추진 사업을 추진 중입니다.

 

2) 관광자원 및 편익시설 개발사업

가) 관광사업개발

외국인관광객들을 대상으로 서울시내 부족한 숙박시설을 확충하기 위해 모텔 밀집지역 지주공동개발, 기존 빌딩 리모델링, 역세권 토지매입 등의 방법을 통한 중저가 숙박시설사업을 검토 추진하고 있습니다.

 

나) 관광단지 관광소비 집적시설 개발

향후 관광산업은 관광객과 시장규모가 2010년에는 10억 6천만명 및 7,642억 US달러, 2020년에는 15억 6천만명 및 20,000억 US달러를 전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관광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세계 각국은 관광산업의 발전을 위해 대대적인 투자에 나서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현대의 관광시설은 마카오의 카지노를 결합한 종합 레저도시, 중국의 지역별 특화된 테마관광 등과 같이 복잡하고 다양한 관광객의 욕구를 충족시키고자 관광지와 도시의 복합, 정주형 관광지 등의 대규모 메가 리조트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이 관광산업은 성장매력이 있을 뿐만 아니라 타 산업과 연계하여 확대 및 재생산되는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2010 한국방문의 해를 대비한 쇼핑, 문화와 관광 그리고 숙박이 복합적으로 어우러진 고품격 체류형 관광몰사업을 추진하여 급변하는 외국인 관광객들의 니즈를 반영함과 동시에 수익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중장기적으로는 경인운하와 연계하여 문화/레저/스포츠/상업 기능이 융합된 국제규모의 마곡 워터프론트 컨벤션 콤플렉스 개발사업과 새로운 여가/놀이문화를 선도시킬 수 있는 레저복합단지 서울대공원 재조성 민자사업 등의 창의적 플랜을 검토 중에 있습니다.


마. 조직도(2009년 12월 31일 현재)

 

이미지: 조직도
조직도
 

바. 자회사의 사업현황
해당사항 없음

 

3. 매출에 관한 사항
가. 매출실적                                                                                        (단위: 원)

사업부문 매출유형 품   목 제 2기 제 1기
마케팅 및
관광홍보
 용역
 수 출 - -
내 수 13,102,689,099 6,062,655,582
합 계 13,102,689,099 6,062,655,582
컨벤션사업 용역
 수 출
 -
내 수 3,633,067,594 1,010,251,293
합 계 3,633,067,594 1,010,251,293
관광자원 및
편익시설개발 기타
 수 출
 -
내 수 2,222,325,190 27,475,000
합 계 2,222,325,190 27,475,000
합    계 수 출
 -
내 수 18,958,081,883 7,100,381,875
합 계 18,958,081,883 7,100,381,875

※ 수익인식에 있어서 당사는 재화의 소유에 따른 위험과 효익의 대부분이 이전된 시점에 수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용역제공거래에 대하여는 진행기준에 의하여 수익을 인식하고 있으며, 진행률은 총예정원가에 대한 실제누적발생원가의 비율에 따라 산정하고 있습니다.

나. 판매경로 및 판매방법 등
당사는 지방공기업법과 서울특별시 서울관광마케팅주식회사설립 및 운영에 관한 조례에 따라 2008년 2월 4일자로 서울특별시와 민간기업이 협력하여 설립한 주식회사형 공기업으로서 마케팅 및 관광홍보, 컨벤션사업을 서울시로부터 위탁대행 집행하고 있으며, 이중 필요한 부분은 관련된 업체에게 업무를 발주하여 수행하고 있습니다.
4.  수주사항                                                                                  (단위: 백만원)

품목 수주일자 납 기 수주총액 기납품액 수주잔고
수 량 금 액 수 량 금 액 수 량 금 액
마케팅 및 관광홍보 2009.01 2010.06 33 19,045 33 13,224 30 5,821
컨벤션 사업 2009.01 2009.12 1 4,005 1 3,139 1 866
합 계 34 23,050 34 16,363 32 6,687


5. 시장위험과 위험관리
해당사항없음

6. 파생상품거래 현황
해당사항없음

7. 경영상의 주요계약 등
당사의 재무상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비경상적인 중요계약은 없습니다.

 

8. 연구개발활동
가. 연구개발활동의 개요

우리 회사는 서울관광에 대한 디지털 마케팅을 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디지털마케팅 기반 플랫폼 서비스로서 ‘서울시 u-Tour 서비스’를 2009년 1월부터 추진하여왔습니다. 2009년 3월에 사업의 전반적인 추진 활동에 대한 권한을 서울시로부터 위임받아, 사업자 선정을 위한 과정을 6월까지 수행하였습니다. 예산 타당성, 제안서 검토, 중복성 검토를 거쳐서 2009년 7월에 ‘나라장터’ 및 ‘우리 회사 홈페이지’에 공지를 통해 u-Tour 사업 추진을 위한 사업자 선정 절차 및 일정을 결정하였으며, 최종적으로 국내 굴지의 통신서비스 업체인 SK텔레콤과 KT가 제안사업자로서 참가하였습니다. 8월에 열린 외부의 민간 전문가들로 구성된 평가위원단의 제안심사에서 최종적으로 KT를 우선협상 대상자, SK텔레콤을 차순위 대상자로 선정하여 사업자 선정을 위한 최종협상을 진행하였습니다. 최종적으로 u-Tour 사업자로 선정된 KT는 국내를 대표하는 통신서비스 기업으로서 3대 기반 인프라인 u-Device(모바일 전용 단말기), u-Portal(서울관광 포털 서비스), u-Hub(위치기반형 Kiosk)를 구축하고 이 서비스에 제공되는 인프라별 전용 솔루션을 개발하기로 하였습니다. 또한 서비스의 콘텐츠는 기존에 파일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던 5개 국어(한국어, 영어, 일본어, 중국어간체, 중국어본체)의 콘텐츠를 하나의 통합 Database 형태로 통합하고 indexing 방식을 통해 5개 국어를 통해서 검색 및 조회가 가능하도록 개발을 하게 됩니다. 이와 관련하여 우리 회사와 KT는 전담 Task Force Team을 구성하여 마포에 소재한 KT 중소기업 솔루션 지원센터에 공간을 마련하여 개발 작업을 시행하였습니다.

또한 본 서비스의 원할한 제공과 외부업체와의 협력을 위해서 기존의 서울시 IDC와 LG텔레콤 IDC로 분산되어 운영되고있는 장비 및 시스템을 2009년 11월에 KT IDC로 이전하여 보안관제, 운영관리업무를 통합관리하여 더욱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 환경을 구축하였습니다.

2009년 12월 23일부터 상용테스트의 일환으로 인천공항, 김포 공항, 삼성동 도심공항 터미널의 KT SHOW 로밍센터에서 아이폰용으로 개발된 전용단말기를 임대하고 2009년 12월 30일부터는 한국, 미국, 일본, 중국, 홍콩, 타이완의 현지 Apple의 App store에 전용 Appl을 탑재하여 다운로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2010년 4월에는 공식적인 상용서비스를 시행할 예정이며 이에 대한 명확한 일정은 이후 서울시와 협의하여 확정할 예정입니다.

 

1) 연구개발 담당조직: 경영기획본부/E_비즈팀

2) 연구개발비용

(단위 : 천원 )
과       목 제2기 3분기 제1기 비 고
원  재  료  비
 
 
 
인    건    비
 
 
 
감 가 상 각 비
 
 
 
위 탁 용 역 비
 
 
 
기            타 22,967 59,912
 
연구개발비용 계 22,967 59,912
 
회계처리 판매비와 관리비 22,967
 
 
제조경비
 
 
 
개발비(무형자산)
 59,912
 
연구개발비 / 매출액 비율
[연구개발비용계÷당기매출액×100] - -
 

 


나. 연구개발실적

주요 개발 사항을 현재 전체 사업일정에 따라 개발 중에 있으며 1단계 구축 사업은 2009년 8월 21일부터 2010년 5월 31일까지 수행할 계획입니다.

첫째로, u-Device는 2009년 12월 23일부터 인천공항, 김포공항, 삼성동도심공항터미널의 KT Show로밍센터에서 임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2010년 3월 21일 현재 주간 임대단말기는 약 250대 수준이며, 임대현황은 약 320대 수준입니다. (2010.3 KT임대단말현황자료) 현재 제공되는 단말기는 미국 애플사의 iPhone이며, 2010년 5월부터는 제공 OS 범위를 확대하여 Google의 안드로이드, Microsoft의 Windows Mobile 용 서비스까지 범위를 확대할 예정입니다. 이를 통해 개인이 보유한 스마트폰 및 WCDMA 기반 단말기를 위하여 각 통신서비스 제공사의 Application Store에 서울관광에 대한 콘텐츠와 서비스를 저렴한 가격에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제공할 예정입니다. 특히 국내 입국 관광객의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일본인 관광객들을 위해서 현재 일본내에서 이동통신 시장 점유율 1위인 NTT-DOCOMO의 I-Mode에서 구현되는 서울관광 전용 VM 서비스의 다운로드를 상반기 중에 제공할 예정입니다.

둘째로, u-Tour 서비스의 중요한 플랫폼인 u-Portal 서비스는 2010년 3월까지 서비스 통합 및 연계 개발업무를 완료할 예정이며, 서비스 운영의 편리성, 마케팅 역량 강화, 콘텐츠 관리 편의를 위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Contents Database, Contents Management System을 통합하여 운영을 위한 인건비 및 노력을 절감하도록 설계하였습니다. 또한 온라인 마케팅 역량을 강화하고 콘텐츠 작성 및 관리 편의를 위한 연동규격 표준을 작성, 제공할 예정입니다. 특히 한국어, 영어, 일본어, 중국어(간/번체)로 제공되는 웹서비스는 PC에서 제공되는 버전(PC웹)과 모바일에서 제공되는 버전(모바일웹)으로 채널을 다양화하여 이용자가 보유한 모든 채널에서 서울관광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개발하였습니다. 더욱이 다양한 단말기들에서 사용되는 Browser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인터넷익스프롤러(윈도우즈모바일), 사파리(애플). 크롬(안드로이드) 등에서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User Interface를 고려하여 개발하였습니다.

셋째로, 현재 명동에 설치되어 있는 u-Hub를 기본 모델로 하는 u-Hub 서비스는 서울시의 u-기반시설인 을지로 한빛거리 등 Interactive 서비스로 개발된 Digital Kiosk에 서울에 대한 최신 관광정보를 통합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연동규격을 개발하여 서비스 상호 연계할 수 있도록 할 예정입니다.

넷째로 기존의 ‘u-Tour'라는 명칭을 사용자에게 보다 쉽고 친근하게 다가가기 위해서 ’iTourSeoul‘이라는 새로운 서비스 명칭을 개발하였습니다. 뉴욕의 관광마케팅 브랜드인 ’ I Love NewYork'과 같이 친근하고 편안하게 다가서는 서비스의 느낌을 제공코자합니다.

다섯째로 서울에 대한 다양한 관광, 문화, 공연 콘텐츠를 이용자의 관점에서 다국어로 재작성하여 온라인, 모바일, Off-line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위치정보, 이미지 정보를 통합하는 콘텐츠 정보 제공 DataBase를 작성 및 운영하고 있습니다. 공식적인 서울여행 안내정보 뿐만이 아니라 개인별 여행경험 소개, 여행일정 사례 등 Social Media Channel을 포함하여 향후 서울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기업과 개인 들이 조회하고 연계를 제공할 수 있는 Knowledge Management Service로서 확대 제공될 수 있도록 추진할 예정입니다.

 

이후 정보 기술 및 통신기술의 발전에 따라 'iTourSeoul'은 이용자가 보다 편리하고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로 발전될 것이며, 이를 통해 서울은 사용자의 손 끝에서 모든 정보를 검색하고 이용 할 수 있는 세계 최고 수준의 Digital Intelligent 기반의 Smart City가 될 것입니다.

이러한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 및 활용은 불필요한 여행가이드북, 인쇄물 등 재사용이 불가능한 제품의 사용 및 제공을 최소화함으로써 환경보호와 조화를 이루어 서울시가 지향하는 그린매니지먼트를 구현할 수 있도록 초기의 개발활동부터 전략적으로 검토하여 진행하고 있습니다.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