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카테고리 없음

씨티씨바이오

끝까지가보는거야 2017. 10. 13. 08:00

 


II. 사업의 내용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1) 제약산업
1) 산업의 특성


제약산업은 기술 집약적인 고부가가치 산업으로서 치료용 의약품의 경우 경기 변동에 따른 영향이 적은 성격으로 안정적인 시장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제약산업은 첨단 부가가치 산업으로 신약개발 여부에 따라 고수익을 창출 할 수 있는 미래 성장산업임. 국내의약품 시장의 정체와 다국적 제약사의 시장 잠식으로 인하여 국내 제약업체의 치열한 생존경쟁이 예상됩니다.

 

 

2) 산업의 성장성

국내 제약시장은 약 10조원 규모로 전세계시장의 1.5%내외를 점유하고 있습니다.  2000년부터 시행에 들어간 의약분업제도로 인하여 제품 경쟁력과 연구개발능력을 보유한 회사들은 새로운 성장의 전기를 맞이하였습니다. 또한 고령화와 소득수준의 향상, 의약분업 등으로 국내 의약품 성장률은 잠재 GDP 성장률을 상회하는 성장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됨. 2000년부터 휴먼 지놈프로젝트의 영향으로 가장 유망한 산업으로 분류되고 있으며 기존 제약사는 물론 대기업에서도 투자를 활발히 하고 있습니다.  특히 바이오 신약 분야에 대해서 고도 성장할 것이라는 예측이 일반적입니다. 최근 한미 FTA, 의료비 적정화 방안 등 정부의 정책에 따른 잠재적인 리스크가 존재하고 있습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

제약산업은 타 산업에 비해 전반적인 경기변동의 영향을 덜 받는 업종입니다. OTC(일반의약품)의 경우는 일반 경기변동에 다소 민감한 편이나 ETC(전문의약품)의 경우 약품의 특성상 안정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4) 경쟁요소

제약업계의 경쟁은 500여개 이상의 업체가 난립하여 경쟁이 치열한 편이며 최근 들어 대기업들의 진출도 활발해 지고 있습니다. 최근의 의료제도의 변화와 국내 대기업의 직접진출 및 다국적 제약사의 적극적인 국내시장 진출로 경쟁이 심화되고 있음. 최근 정부의 약제비 인하정책 및 포지티브 약가 도입, 한미 FTA 협상타결 등 향후 제약업계는 기회와 위기가 공존하고 있습니다.

 


5) 자원조달의 특성

제약업체는 대부분 생산원료의 조달을 외국제약사나 기술거래선에 의존하고 있으며 따라서 원료자급도가 매우 낮은 편이나, 공정과 기술 개발이 진척되면서 원료의약품의 국산화가 많이 진전된 상태입니다. 제약업종은 기술 집약적 산업이므로 노동력의 수급 상황은 대체로 안정적이라 할 수 있습니다.

 

 

6) 관련 법령 또는 정부의 규제 및 지원 등

제약업은 인간의 생명과 건강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의약품의 생산과 판매를 주 목적으로 하므로 제품의 생산, 품질관리, 유통판매 등 전과정에 있어 타산업보다 더 많은 규제와 제약이 뒤따르고 있습니다. (약사법, 마약법, 향정신의약품관리법, KGSP, KGMP등). 또한 제약업체의 제품가격 결정에 있어서도 전문의약품인 경우 의료보험 수가로 인위적인 가격통제를 받고 있습니다. (보험약가 등). 또한, FTA협상의 타결로, 신약의 특허기간 연장문제, 특허-허가 연계, 자료독점권, 상호인증제(MRA)등이 새로운 규제가 강화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2) 동물약품

1) 산업의 특성

동물약품은 동물의 질병의 진단, 치료 또는 예방 및 치료를 목적으로 동물에 투입되는 제품 중 대한약전에 의하여 분류되고 관리되는 동물용 의약품을 말합니다.

동물약품은 그 기능 및 제제의 특성에 따라 항병원성약, 보조적 의약품, 생물학적 제제, 의약외품 등으로 구분되며 유통구조에 따라 사료공장매출, 필드매출, 기타매출 (수출, 원료동물약품판매)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국내 동물약품은 1960년대에 국내배합사료와 함께 태동하기 시작하였습니다.

부업농의 성격에서 전업농으로 축산물의 생산방식이 변함에 따라 전문적인 가축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배합사료가 필요했으며 이 요구에 따라 사료첨가제의 일종인 동물약품도 성장을 같이 하였습니다.

현재 우리나라의 배합사료의 기술력은 선진국의 수준에 도달해 있으며 이를 토대로 해외에 기술지원 및 현지공장을 설립하고 있습니다. 이에 전통적인 사료원료구성에서 탈피하여 새로운 개념의 원료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동물약품의 모태가 되고 있는 배합사료의 시장의 변화에 따라 동물약품도 새로운 변화를 가져오고 있습니다.

 

2) 산업의 성장성

국내배합사료시장은 2005년을 기준을 연간 1,500만톤을 생산하였습니다. 2007년 현재까지 큰 차이는 없지만 전체 생산량은 소폭 상승하고 시장 규모 또한 소폭 성장 추세에 있습니다. 이는 금액으로 환산하면 약 6조원 정도로 추정할 수 있습니다.
(근거 : "사료연감" 한국사료협회)

동물약품업계는 배합사료시장의 성장에 따라 동반 성장하여 왔으며 배합사료 기준으로 약 10%의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고 추정합니다. 따라서, 동물약품 및 첨가제의 시장은 약 6천억원 정도로 볼 수 있습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

사료업계는 수요량이나 가격면에서 경기변동에 대한 민감도가 낮은 편이나, 최근 정부차원의 항생제 사용 규제 예정에 따라 사료공장 등으로 판매되던 항생제는 점차 감소추세일 것인 반면, 생체에 위해가 없는 생균, 효소제의 시장이 빠른 속도로 확장될 것으로 보여집니다.

고소득 수준의 정착, 외식산업의 발달, 패스트푸드점의 보편화에 따라 축산물의 경기 변동에 따른 민감도가 일반 생필품 수준으로 낮은 편이며, 따라서 축수산사료 수요의 경기 변동에대한 민감도는 낮은 편입니다.

 


4) 경쟁요소

국내동물약품의 경쟁업체수는 75개이며 그 구성은 회사를 포함한 제조업체가 47개, 수출 및 내수 유통전문도매업체 18개, 다국적기업이 10개로 되어있습니다. 이들 중 회사와 경쟁관계에 있는 제조, 판매 업체는 20여 개로 볼 수 있습니다.

 


- 동물약품시장에서의 경쟁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ㆍ현재 축산시장은 경제의 성장에 따라 양적인 것보다는 질적인 향상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기능성이 부각된 축산물을 요구하는 상황을 충족할 수 있는 제품을 가지고 있어야만 됩니다.

ㆍ시장의 변화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신제품 개발을 할 수 있는 기술 및 전문성을 갖추고 있어야 합니다.

ㆍ향후 시장규모가 커질 생균ㆍ효소제의 선점과 이에 대한 전문 인력과 기술을 보유하고 있어야 합니다.

ㆍ수요자가 한정된 전문인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문성 및 기술성이 요구되는 생산재 시장입니다. 수요자에게 강한 신뢰감을 주어야 하며 고정거래선을 확보하고 있어야 합니다. 또한 시장의 상황에 부응할 수 있는 마케팅, 영업조직을가지고 있어야 하며 고객들과의 긴밀한 유대관계를 유지하고 있어야 합니다.


ㆍ동물약품을 제조할 수 있는 제조업 허가를 갖추고 있어야 합니다. 동물약품제조업은 농림부의 허가 사항입니다. 허가요건을 갖추어야 제조업허가를 받을 수 있습니다.

ㆍ제품의 사용을 결정하는 수요자는 대부분 전문지식을 갖춘 사료관련전문가입니다. 이에 따라 과학적 자료에 따른 마케팅 및 지속적인 기술 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어야 합니다.

ㆍ해외 다국적기업, 국내 대기업과의 전략적 제휴를 통한 안정적인 원료공급 및 신제품개발을 위한 아웃소싱체제를 갖추고 있어야 합니다.

ㆍ국책사업(축산환경개선사업)과 같은 국가시책에 맞는 제품을 보유하고 있거나 개발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어야 합니다.

 


특징적인 것은 사료공장으로의 매출액이 전년도 대비 감소하였는데 이는 세계곡물가 급등에 따른 사료값 인상에 부담을 느낀 사료회사들이 사료에 들어가는 약품의 수를 줄였기 때문으로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사료 질의 저하로 이어져 결국 낙농가의 품질에 대한 요구를 만족시킬 수가 없는 결과를 가져오므로 단기적인 현상으로 보여집니다.

 


(3) 단미보조사료

단미보조사료 시장 역시 고곡물가의 영향에 직접적인 관련을 지난 사업분야입니다. 단미보조사료 가격상승은 유럽의 주요 사료원료 재배 지역의 기상악화에 따른 생산량 감소와 미국과 브라질을 중심으로 연료용 에탄올 산업의 확장, 원유가격 급등 등이 가속화 되고 있습니다.

지난해 11월 세계식량기구(FAO)의 식품전망보고서에 따르면, 올해와 지난해 옥수수를 비롯한 조곡생산량은 10억7천750만 톤으로 2006년과 2007년 9억8천520만 톤보다 9.4% 증가할 것이며 이에 따라 가격상승은 다소 진정 되겠지만 2006년과 2007년 가격보다 낮아지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유가상승과 국제적인 환경규제 강화 움직임, 환율불안, 한미FTA 타결 등은 국내 중소 축산농가 및 사료제조업체의 경영난을 더욱 가중시킬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업계에서는 다양한 원료의 개발에 열을 올리고 있습니다. 특히, 바이오연료에 투입되는 곡물의 경우 기름을 짜낸 찌꺼기가 많이 발생되고 있는데, 이를 사료의원료로 활용하는 방안을 강구하고 있습니다. 기존에 이것들을 사용하지 않은 것은 아니지만 원료의 특성 상 소화효율이 떨어지므로 이를 개선하는 방법을 찾는 것이 관건입니다.

단미보조사료는 운송비가 원가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큰 품목인데 원유가 급등에 따른 해상운송비의 상승에 원화 약세에 따른 비용상승이 더해져  최근 달러 강세까지   단미보조사료 가격의 상승요인으로 작용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2009년부터 인수공통 항생제 7종을 사료에 첨가하지 못하게 되며 2012년부터는 모든 성장 촉진용 항생제의 배합사료 내 첨가를 금지하는 '유해사료 범위와 기준'이 지난 해 12월 13일 고시됨에 따라 사료업계가 무항생제 사료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광우병 등 질병억제, 면역증강용의 항생제 등의 축산환경의 개선을 위해 단미사료는 더욱 많은 소비가 될 것으로 예상이 되며, 생균효소제 등이 고기능성 단미사료로써 그 이용율이 높아질 것으로 보여집니다.

 


(4) 건강기능성식품

건강기능식품법 시행이후 건강기능식품 시장 규모가 연간 2조5천억원에 규모에 달하며 매년 10~15% 가량 성장이 진행되고 있는 사업분야 입니다. 현재 300여개가 넘는 국내 건강기능식품 제조업소에서 37개 품목으로 식약청에서 기능성과 안전성을 인정한 제품 종류는 무려 6000여종에 달합니다.


또한, 웰빙열풍과 건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는 가운데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 통계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사람 10명 중 5명은 건강기능식품을 섭취한 경험이 있을 정도로 건강기능식품은 이미 건강의 유지 및 증진을 위한 생활필수품 중의 하나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최근 건강기능식품 시장에서는 외국산 제품 수입 증가, 유통 채널이 직접 판매에서 매장 판매로의 전환, 섭취 연령층 20~30대로의 확대 현상 등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2008년 하반기부터 건강기능식품 정책과 제도가 바뀔 예정입니다.

일반식품과의 식별을 강화하는 건강기능식품 표시기준 개정에서부터 건강기능식품 이력추적관리제도, 건강기능식품 6가지 제형 삭제, 건강기능식품 광고물에 최고 표현 허용, 일반 슈퍼에서도 판매할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 판매완전자유화가 추진 등이 대표적입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청(식약청) 건강기능식품의 표시기준'을 6월 25일 개정, 건강기능식품 도안을 한글표시와 함께 표시하도록 해 소비자가 일반식품과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또한, 건강기능식품이력추적관리제도는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단계부터 판매단계까지 각 단계별로 정보를 기록, 관리해 해당 건강기능식품의 안전성 등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해당 건강기능식품 추적을 통해 원인 규명 및 필요한 조치를 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제도로, 지난 3월 공포된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을 통해 신설됐습니다.

건강기능식품 6가지 제형이었던 기존 정제·캅셀·분말·과립·액상·환 등 6가지 제형 규제가 삭제 돼 오는 9월 22일부터는 일반식품처럼 젤리나 시럽, 겔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이 시중에 첫 선을 보이게 됩니다. 이에 따라 앞으로 다양한 기능성 신소재나 신제품 개발이 용이하게 되어 건강기능식품 산업이 크게 활성화 될 전망입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 제약산업회사는 2004년도에 KGMP를 획득하여 공식적인 제약 생산시설을 인정받았으며, 제제연구개발의 괄목할 만한 시장 진입성과로 인해 많은 제약업체에서 공동연구 파트너로 지정되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제약사업의 주력 수익모델은 기술개발 후 기술이전 및 기술실시권 제공에 의한 수익사업입니다. 그 밖에 현재 매출규모는 크지 않지만 바스프사와의 약물코팅사업과 직간접 제조 및 판매가 있으며 향후 성장할 수 있는 사업분야로 보고 있습니다.

2005년 약가보장제도 철폐와 2006년 생물학적동등성시험 조작파문, 2007년까지 이어져오고 있는 FTA협상 등의 산업환경의 급변은 단순카피약을 제조 판매하는 기업에게 매우불리하게 작용하여, 의약품 제조사로서는 특허분쟁을 피해갈 수 있는 기술적인 품목의 보유를 필요로 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제약사업부를 기술개발 위주로 운영해 온 결과 일반 제약사가 보유하기 어려운 고가의 화학정밀장비를 다수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운영할 수 있는 고난도 제제기술을 보유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정책은 타 제약사와의 기술개발의뢰계약고를 높이는 계기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축적기술과 경험을 바탕으로 회사는 기술개발사업 외에 향후 고부가가치의 위수탁사업을 병행할 수 있는 기반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계약 체결된 기술이전 및 실시권의 주요 품목은 다음 표와 같습니다.


품목 용도
피나스테리드 양성전립선치료제, 탈모치료제
리세들로네이트 골손상 치료제
시부트라민 비만치료제
아토르바스타틴 고지혈증치료제
포독세프건조시럽 항생제
코타실이캡슐 함암제
이트라코나졸 경구용 무좀치료제
로시스과립 항생제
나이아신 혈액순환촉진제
톨터로딘서방정 과활동성방광치료제
베리록시 항생제
클로피도그렐 항혈소판제
로자탄칼륨 고혈압치료제
수로신캡슐 전립선비대증치료제
유드라짓L100 빈혈치료제
토피라메이트 간질치료제
팜시클로버 대상포진제
졸피뎀 수면제
에스오메프라졸 위궤양치료제
클로미프라민 우울증치료제


상기 목록은 국내 시장에 한하여 작성되었으나, 회사는 현재 상기 품목 중 3~5개의 주력품목으로 해외 시장에 진출하기 위한 다국적 제약사와의 협상을 다방면으로 전개해 나가고 있습니다.

또한, 신규사업부문인 제약사업부의 경우 국내 기술이전사업을 통해 매출을 유지하고 있으나 향후 미국, 유럽 등 선진국 시장으로 기술수출사업이 본격화 될 경우 수익성을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 동물약품
당해 회사의 동물약품 사업은 항생제계와 비항생제계 품목의 고른 매출성장으로 지속적인 매출증가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항생제 계통의 약품 사용 규제의 정부시책에 따라 생균제, 효소제 계통의 면역강화제 개발과 제조를 지속적으로 추진한 결과 CTCzyme, V-Labs, BIOsaf 등의 신제품을 출시하였으며, 유기산, 엔자임 등의 상품을 다양화하여 매출성장을 이끌어 왔습니다.

또한, AI 등의 발병에 대비한 조류독감 관련 진단키트와 소독제의 판매를 개시하여 관납 및 사료회사, 대리점 등에 유통하는 등 부가수익을 올리고 있습니다. 이들 제품은 향후로도 AI의 지속적인 발병이 예상되는 바 그 매출이 증가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아울러 소백신과 말관절염, 반려동물 전문 치료제 및 의약부외품 등의 고급동물약품의 출시를 본격화할 계획을 가지고 있어 이 분야에서의 매출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5월 8일에 Global Network를 갖춘 다국적 기업인 NOVUS사와 CTCZYME 글로벌 판권 계약으로 CTCZYME 수출 매출 증가와 NOVUS사를 통한 세계시장 조기진입, Sales 아웃소싱으로 인한 연구개발 및 기술지원 집중, 자사 브랜드를 해외시장에 인지하게 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단미보조사료
당사는 착색제, 카폭박, 호마박등 기능성 제품을 판매하고 있으며, 주정제조 부산물에 생균제를 접종하여 고품질 기능성 생균제 및 효모제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또한, 항생제 규제에 따라 보조사료의 역할이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되며, 악취방지법시행에 따라 기능성 생균제 및 기능성 보조사료의 개발 및 판매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생균 및 효소제는 정장작용으로 분변량을 감소시켜 축산환경을 개선하는데 기여 합니다.

단미보조사료의 주 수요처는 배합사료 제조업체 및 대규모 낙농기업입니다. 축산업은 경기변동에 상대적으로 민감하지 않기 때문에 비교적 안정적인 시장을 이루고 있습니다만, 그 품목을 취급하는 기업의 매출과 이익은 보조사료의 경우 옥수수, 밀, 대두 등의 국제 곡물가에 민감하며, 건초의 경우 해외산지의 산출량과 정부의 쿼터량 배정에 따른 물품의 확보능력에 비례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1차산업의 연관산업임에도 불구하고 시장장벽은 높다고 볼 수있습니다.

회사는 단미보조사료를 주요사업으로 취급한 이래 지속적인 성장을 이루고 있습니다. 동물단백질 사료의 남용으로 인한 광우병 등이 인체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당사는 단미보조사료 분야의 전문가를 영입하여 미국, 캐나다,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등의 현지에서 엄격한 상품선정과 구매결정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본 사업의 특성상 다양한 식물 부산물을 이용하여 부존자원의 제품화가 가능하므로 부존자원이 풍부한 중국 및 동남아 등지에서 지속적인 제품개발에 주력하여 국내 축산농가에 일익이 되고자 합니다.

■ 건강기능성식품
유산균을 이용한 시장은 기능성식품, 식품첨가물, 동물의약품, 인체의약품, 화장품원료, 발효유 등 그 사용이 매우 폭넓고 다양합니다.
유산균 관련 기능성 식품 및 식품첨가물의 경우 현재 유럽, 일본, 미국 등의 선진국에서 이미 큰 시장을 형성하고 있으며, 건강에 대한 관심의 증가 및 유산균 효능관련 의약품 시장의 지속적인 증가추세로 인하여 동 제품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고, 향후 큰 폭의 성장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유산균의 효능은 정장작용, 혈중콜레스테롤 감소기능, 면역증강, 내인성 감염억제 기능, 항암효과 등 의학적으로 확인된 기능만 하여도 매우 다양하여 동 기능과 관련하여 항궤양제, 항생제, 콜레스테롤 저하제, 항암제등 의약품으로서의 적용범위가 매우 다양하고 동 의약품 시장이 매우 큰 시장을 형성하고 있어서 의약계에서는 유산균을 포함한 박테리아를 이용한 의약품의 개발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어서 향후 유산균 관련 의약품 시장은 기능성 식품 이상의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에 당사는 건강기능성 식품으로 '히게이아혼합유산균'을 출시하였습니다. 처음으로 B2C 사업을 시작하였고 인터넷을 통한 판매를 개시하였습니다. 히게이아는 한 포당 300억 마리의 유산균을 함유하고 있으며 정장작용과 장내 연동운동, 유익한 유산균의 증식과 장내 유해미생물 억제 등에 효과적인 제품입니다. 당사는 히게이아혼합유산균이 건강기능성식품 분야에서 좋은 성과를 거두리라 기대하고 있습니다.

효소제의 경우, 당사에서는 만난아제(대두의 식물단백질 분해효소), 갈락토시다제(식물에 존재하는 다당류 분해효소) 등의 특허를 활용한 식품과 사료의 대사효율을 높이는 식품원료를 개발하여 양산에 들어가고 있습니다.

따라서, 향후 도래할 것으로 예상되는 유산균과 효소제 시장에 초점을 맞추어 당사의 모든 연구역량을 집중하고 있으며 유산균, 효소제를 이용한 사업의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유산균관련 사업
    1) 유산균류의 배양을 통한 유산균제품의 개발 및 판매 (기능성식품)
    2) 유산균류를 이용한 스타터 종균의 개발 및 판매
    3) 기능성 유산균주의 선발을 통한 기능성 유산균제품의 개발 및 판매
    4) 유산균주의 선발 및 이들 선발된 균주의 관계사  공급

2. 사료용 효소제관련 사업
    1) 사료용 효소생산균주의 선발 및 효소생산공정개발
    2) 효율적인 효소생산공정을 통한 사료용효소 생산 및 판매

 3. 축산용미생물생리활성제(생균제)관련 사업
     1) 축산용 기능성생균효소제 개발 및 판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회사는 항병원성약, 생균. 효소제, 단미보조사료 및 인체의약품 등의 제품만을 단일

매출하는 사업이므로 한국표준산업분류표에 의한 공시대상 사업부문이 없습니다.

 

(2) 시장점유율 등

 당사의 제약사업부의 경우, 제제기술의 연구와 기술이전판매라는 다소 특수한 사업

모델을 수행하고 있어 시장의 분석 자체가 어려운 것이 현실입니다. 실제로 당사와 같은 사업모델로 제약사업을 운영하고 있는 기업은 당사가 유일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동물약품 및 단미보조사료의 경우 시장규모와 각 업체간의 점유율에 대한 자료는 다양한 자료가 제시되지 못하고 유통구조의 복잡성이 있어 실제와 상당한 차이가 있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또한, 현재 당사의 건강기능성식품 분야의 경우 매출의 비중이 크지 않으며 대부분의 경우 인체약품 및 동물약품의 기능성원료로 사용되고 있으므로 시장점유 분석을 생략 합니다.

 

(3) 시장의 특성

■의약품

의약품 시장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① 의약품은 사람의 질병에 대한 예방, 치료, 생명유지에 필수적인 특성이 있으므로 성장가능성이 큰 산업입니다.
② 생명공학의 발달에 따라 의약품 시장의 규모가 커지고 있으며 미래 유망산업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③ 국내경기 및 의료제도에 밀접한 연동성을 보이나 대규모 자본이 필요한 신약개발 보다는 기존의 제품을 응용한 개량형 제제기술을 확보한 업체들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④ 대규모 단일 연구 투자가 아닌 컨소시엄을 통한 소규모 단기적 연구투자를 적극적으로 실행하는 기업들이 시장에 대한 순발력을 바탕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제제연구를 기반으로 전문 회사는 지난해 약 5개에서 올해는 2~3개로 축소 되었읍니다. 이러한 변화는 시장의 정책과 여건을 빠르게 진단 하지 못하고, 고난이 기술을 가지지 못한 회사들이 시장에서 도태된 결과 입니다. 제약회사 내부의 제제연구부서를 제외하면 유일하게 시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회사가 되고 있읍니다. 특히 빠른 정책 결정과 우수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하는 신뢰성 있는 기술영업이 결과를 맺고 있는 상황입니다. 또한 약가보장제도의 철폐, 생물학적 동등성 시험 규정과 DMF의 시행을 정부가 강하게 추진하고 있어 한층 큰 시장 확대를 예견하고 있습니다.

당사가 추진 중인 제약사업은 최근 약가포지티브제도 입안에 의해 시장의 변동이 심화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약가포지티브제도는 기존의 전품목 보험약가적용 방식을 약효대비 가격이 싼 약을 위주로 보험약가 적용을 받도록 하는 제도입니다. 본 제도가 시행될 경우 2년이내에 보험약가를 적용받던 품목의 수가 약 75%가 줄어들어 이로인한 매출감소로 인해 영업상 타격을 받는 업체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약가 포지티브제도는 상대적으로 단순카피약(제네릭)에 대부분 적용될 것으로 보이여 반면 신약과는 별개의 특허를 지닌 개량신약에 대하여는 재평가가 이루어져 개량신약기술에 대한 고부가가치가 창출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따라서, 개량신약기술개발을 위주로 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당사로서는 타 제약사의 위축으로 시장개척에 어려움이 예상되는 반면 그간 축적된 기술에 대한 재평가가 이루어져 보유기술에 대한 가치가 상승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러한 현상은 제약산업 분야의 FTA 협상에 관하여도 비슷하게 적용되어 신약 및 개량신약개발업체가 국내 제약산업의 판도를 이끌어 갈 것으로 전망되어 집니다.

■ 구충제, 항생물질 등 항병원성약 의 동물약품
동물약품시장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① 1차 산업이므로 경기변동에 비교적 적은 영향을 받습니다. 따라서 업계에 강한 신뢰감을 구축하여 고정거래선을 확보하거나 선점효과를 얻게 되면 경기변동에 큰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② 제품의 사용을 결정하는 고객은 대부분 전문지식을 갖춘 사료관련 전문가이기 때문에 제품의 효능에 대하여 과학적 자료를 토대로 마케팅이 이루어지고 지속적으로 기술적인 서비스와 자료의 제시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③ 배합사료의 주원료(옥수수, 대두, 소맥)는 대량으로 사용되며 가격민감도가 크지만, 회사의 제조제품은 소량으로 사료에 사용되며 이를 통한 사료의 품질향상과 기능성을 부여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가격 민감도가 작습니다.
④ 국내 배합사료제조업체의 기술수준은 선진국에 뒤지지 않을 만큼 성장하였고 이를 토대로 해외에 기술지원 및 현지공장을 설립하고 있습니다. 전통적인 사료원료구성에서 탈피하여 새로운 개념의 동물약품, 생균ㆍ효소제, 기능성 첨가제 등의 사용으로 사료의 품질향상과 이에 따른 가축의 생산성이 향상되고 있으며 이의 수요는 증가하고 있습니다.
⑤ 국내동물약품의 판매구성은 수출과 내수가 3:7 정도입니다. 현재는 일부 품목만이 수출되고 있는 실정입니다. 이에 따라 수출시장의 접근이 용이합니다.
⑥ 국민들의 복지향상과 관련된 1차 산업이므로 국가 정책상 국책지원사업이 있는 시장입니다.
⑦ 축산물에 대한 소비자의 욕구가 다양해지고 있습니다. (안전하고 기능이 다양한 축산물 요구) 이에 따라 새로운 제품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고 있는 사업입니다.
위에 서술한 내용을 요약하면 동물약품 시장의 특성은 안정적이며, 특정적, 한정적 시장이라 말할 수 있습니다.

■ 단미ㆍ보조사료
회사 제품의 주 수요처는 배합사료 제조업체입니다.
수요처가 한정된 업체로 구성되는 생산재 시장이므로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갖고 있습니다.
① 축산업이 1차 산업이므로 경기 변동에 비교적 적은 영향을 받습니다.
② 사료의 주원료인 옥수수, 밀, 대두박 등의 가격 변동에 따라 제품의 사용량, 가격 등이 영향을 받습니다.
③ 다양한 부산물 또는 부존자원의 제품화가 가능하고 경제성이 있으면 사료에 사용이 용이합니다.
④ 사료업계의 경쟁이 치열하며 기능성, 위생적 축산물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가 다양하기 때문에 기능성을 지닌 제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⑤ 주요고객이 사료업체이므로 사료업체와의 긴밀한 유대관계가 사업의 영향을 미칩니다.

 

(4) 조직도

이미지: 조직도 본사
조직도 본사
 

이미지: 조직도 지사
조직도 지사
 

 

 

다. 자회사의 사업현황
(1) 자회사가 속한 업계의 현황


해당사항 없습니다.

 

(2) 자회사의 영업현황

해당사항 없습니다.

 

(3) 자회사의 영업실적

해당사항 없습니다.

 

 


2. 매출에 관한 사항

가. 매출 실적


[ 단위 : 백만원 ]
매출 유형 품 목 구 분 제 14 기 제 13 기 제 12 기
상품 항병원성약 수 출  2,792 392 444
매 출  11,190 3,908 3,940
생균효소제 수 출  1,849 0 0
매 출  10,254 4,509 5,118
단미보조사료 수 출  53 599 130
매 출  720 24,996 24,651
기타 수 출  90 363 80
매 출  990 4,382 1,540
소 계  27,938 39,149 35,903
제품 항병원성약 수 출  179 1,261 248
매 출  3,351 8,650 9,893
생균효소제 수 출  86           906           545
매 출  4,360 8,555 5,440
단미보조사료 수 출  389             29          13
매 출  32,676 567 1,042
기타 수 출  339          126         1
매 출  9,711 2,080 544
소 계  51,091 22,174 17,725
기타 용역매출  2,374 2,969 2,989
수입수수료  226 173 14
총 계  81,629 64,464 56,631

 


나. 대행매출

해당사항 없습니다.

 

다. 판매경로 및 판매방법 등

(1) 판매조직

이미지: 영업조직
영업조직
 

(2) 판매경로

당사의 주로 기업간 거래를 통하여 제품과 용역을 판매하거나 대리점을 경유하여 판매를 하고 있으며, 일부 제품에 한하여 직접 판매를 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판매경로
판매경로
 

(3) 판매방법 및 조건

회사의 영업담당 직원들이 매출거래처와 접촉하여 판매하는 방법으로 결재조건은

현금 결재 또는 90일 이내의 어음입니다.

 

(4) 판매전략

회사의 주요 매출처는 사료공장입니다.

효과적인 판매활동을 위하여 회사는 다음과 같은 판매전략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① 새로운 개념의 신제품도입을 통한 시장선도
  - 회사는 친환경제품인 생균효소제를 시판하여 사료업계에 새로운 개념을 도입하였습니다. 또한 다양한 기능성 제품들을 개발하여 이를 사료 신제품 개발에 적용하여사료회사의 판매증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② 영양학 박사등으로 구성된 컨설팅그룹과 회사의 전문인력에 의한 기술서비스
  - 회사는 국내의 가축 영양학 박사들로 구성된 컨설팅 그룹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최신연구동향등을 사료공장 기술진들에 제공하며 세미나등 직접적인 기술 교류를 통해 기술서비스를 제공하고 이를 회사의 매출과 연결하고 있습니다. 또한 사료공장에서 갖추기 어려운 미생물, 수의학 학위를 가진 당사 전문인력들이 기술서비스를 하고있습니다.
③ 마케팅, 영업인력의 확충으로 인한 고객과의 원활한 교류
  - 회사는 동종업계에서 가장 큰 마케팅, 영업조직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인원들은 모두 축산학, 수의학을 전공한 전문인력으로 고객들과 긴밀한 의사교류가 이루어지며 고객의 요구에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있는 영업 정책을 펴고 있습니다.
④ 필드판매
 - 회사는 사료공장 판매 외 대리점과 거래약정을 통하여 판매계약을 체결 현재 개발된 신제형개발품인 엔트릴캡슐과 광범위항생제인 오로확을 공급하여 필드시장을 확보해 나가고 있습니다.
⑤ 제약연구용역
 - 연구용역 매출은 전문분야의 특성상 연구원이 자기 개발분야의 연구성과를 직접 판매합니다. 기술이전계약이 체결되면 품목등록대행은 물론 회사의 연구원이 거래상대방의 연구제조시설에 파견되어 대량생산공정단계까지의 생산공정단계까지 지원하는 One-Stop service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3. 주요 원재료
- 매입에 관한 사항


[ 단위 : 백만원 ]
품 목 구 분 제 14 기 제 13 기 제 12 기
항병원성약 수입 6,780 2,153 2,651
매입 0 0 0
생균효소제 수입 6,032 5,578 4,455
매입 2,367 1,549 775
단미보조사료 수입 33,392 23,840 21,536
매입 7,903 7,166 8,272
기타 수입 4,418 2,998 407
매입 5,040 2,533 1,305
합 계 65,953 45,818 39,406


4. 영업설비 등의 현황

가. 영업용 설비 현황

(1) 국내

(단위 : m2, 명 )
구 분 소재지 토 지 건 물 합 계 종업원수 비고

본사 서울 송파구  416 1,241 1,657 66 자가
서울 성북구 139 370 509 - 자가
서울 송파구 - 45 45 - 임차
소계 555 1,656 2,211 66 -
공장 경기 화성시 13,983 6,007 19,990 66 자가
소계 13,983 6,007 19,990 66 -

공장 경남 김해시 - 400 400 3 임차
경남 김해시 - 492 492 - 임차
소계 - 892 892 3 -
합    계 14,538 8,555 23,093 135 -


(2) 해외

해당사항 없습니다.

(3) 신규 지점 등의 설치계획

해당사항 없습니다.

 


나. 기타 영업용 설비

해당사항 없습니다.

 


다. 설비의 신설ㆍ매입 계획 등

(1) 진행중인 투자

해당사항 없습니다.

 

(2) 향후 투자계획

해당사항 없습니다.

 


5. 파생상품 등에 관한 사항

가. 파생상품계약 체결 현황

해당사항 없습니다.

 

나. 리스크 관리에 관한 사항

- 환율변동으로 인한 Risk 최소화 및 안정적인 Cash Flow 확보를 외환관리 원칙으로하며, 투기적 외환관리를 금합니다.

- 대내적 환관리기법을 우선 사용하여 환 Risk를 제거하고 대내적 환관리기법에 의해 제거하지 못한 환 Risk는 대외적 환관리기법을 활용하여 헷지합니다.(대내적 환관리 기법 중 외환의 수입과 지출을 시기별, 통화별로 일치시키는 매칭전략을 기본으로합니다.)

 

 

6. 경영상의 주요계약 등

해당사항 없습니다.


7. 연구개발활동


가. 연구개발활동의 개요

(1) 연구개발 담당조직

이미지: 연구조직
연구조직
 

(2) 연구개발비용

(단위 : 천원)
과       목 제14기 제13기 제12기  비 고
원  재  료  비 1,161,700 505,459  331,162 -
인    건    비 1,062,011 1,484,383 1,291,966 -
감 가 상 각 비 604,031 850,954 625,422 -
위 탁 용 역 비 482,846 424,915 451,000 -
기            타 33,993 822,440 1,199,492 -
연구개발비용 계 3,344,581 4,088,151 3,899,042 -
회계처리 판매비와 관리비 3,226,314 3,588,473 3,566,149 -
제조경비 - - - -
개발비(무형자산) 118,267 499,378 332,893 -
연구개발비 / 매출액 비율
[연구개발비용계÷당기매출액×100] 4.1% 6.3% 6.9% -

 


나. 연구개발 실적

연구과제 연구기관 연구내용 연구결과상품화
개량신약 제제 및 조성물 개발 회사부설
중앙연구소 < 개요 >

○ 당사의 제약사업부는 신약에 대한 개량화된 제제 및 조성물을 개발하고 이를 특허출원하여 상품성을 획득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최근까지 의약품 60품목 이상의 개량신약 개발에 성공함

< 연구결과 >
ItraconazoleCefuroxime axetil
RamiprilRisperidneFinasterideTorasemideRebamipideRoxithromycinTerbinafine HCIMetformin
VenafaxineZolpidemRanitidine HCIGabapentineErdosteineMeloxicamLacidipineAlendronate NaTacrolimusNiacinPropiverine HCIPronaseGilmepirideIsradipineRansoprazole타이레놀서방정심바스타틴덱시이부프로펜
탐스로신염산이토프리드염산파록세틴클로피도그렐염산그라니세트론레파글리니드플루바스타틴메실사독사조신서방정토피라메이트올란자핀레르카니디핀SibutramineLimaprostFamiciclovir
RamiprilAtrovastatineTolterodineFenofibrateLevocetirizineRisedronateEsomeprazoleAmlodipineLetrozoleSumatriltanTropisetron실로스타졸서방정로자탄서방정Acetaminophen +Tramadol
암로디핀 +아스피린복합제독사조신 +피나스테리드복합제레르카니디핀 +아스피린복합제탐스로신 +피나스테리드복합제 연구 결과로 얻은 제제기술 및 조성물 기술 대부분 제약회사로 기술이전하여 기술이전에 따른 용역료 및 로얄티 수익 발생 중
새우백점병바이러스 억제제 개발 회사부설
중앙연구소 < 개요 >
절지동물의 흰점바이러스를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 연구개발의 내용 >
절지동물의 흰반점 바이러스에 의한 양식업의 피해가 크나 별다른 대안이 없는 바, 천연식물 추출물이 가지는 항바이러스 성분을 이용하여 제제를 만들되, 양식업의 특성상 물속에서 효과를 유지하기 위한 고분자 코팅처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을 개발함

< 개발효과 >
절지동물 특히, 양식새우의 흰반점 바이러스에 특효한 조성물에 의한 흰반점 바이러스 예방 및 치료제 개발 새우의 흰반점 바이러스 예방효과를 가지는 사료첨가제의 개발 및 이에대한 사양시험 중
만난아제를 생산하는 신규한 바실러스속 WL-7, WL-011 균주 개발 회사부설
중앙연구소 < 개요 >
전통식품 된장으로부터 분리한 만난 분해능이 있는 바실러스속 WL-7, WL-011를 개발하여 곡물에 존재하는 헤미셀룰로즈 분해에 이용함

< 연구개발의 내용 >
전통식품인 된장으로부터 다수의 세균을 분리한 후 식물의 열매 수지 유래의 갈락토만난을 첨가한 평판배지에서 배양하여 LBG의 분해환이 큰 균주를 선발한 후 선발 균주의 균학적 성질을 조사하고 배양배지 조성에 따른 선발균주의 만난아제 생산성을 조사한 다음 상기에서 생산된 만난아제가 가축사료로 이용되는 대부분과 옥수수분의 탄수화물을 분해하는 능력을 분석하여 사료첨가제로서의 유용성 달성

< 개발효과 >
사료효율을 개선하는 사료첨가제 개발 사료첨가 효소제인 만난아제를 CTCZYME의 브랜드로 국내외 판매 중
항균 및 항바이러스 효과를 가진 신규한 유산균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회사부설
중앙연구소 < 개요 >
유해 미생물 억제 및 조류독감 바이러스에 대한 억제 활성을 가지는,
① 류코노스톡 메젠테로이드 CLUM0617
② 류코노스톡 시트레이움 CLUC0620
③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CLP0611
④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CLP0603
4가지의 유산균과 이 유산균을 배양하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균주의 개발

< 연구개발의 내용 >
전 세계적으로 피해를 입히고 있는 조류독감을 예방하는 것을 우선적인 목적으로 하고 있음
동물은 물론 인체에 무해한 유산균을 이용한 것으로 무절제한 항생제 남용을 막을 수 있으며, 실제 사용이 불편한 백신을 대체할 수 있는 조류의 면역시스템을 강화하는 복합적인 치료예방제로서 사용할 수 있음

< 개발효과 >
동물용 정장제, 생균제, 항균용 조성물을 제공하고 바이러스의 성장을 억제하기 위한 식품, 화장품, 의약품 등에 첨가제로 사용 사료첨가 생균제인 V-labs(상표명)을 개발하여 국내외 시판 중


 
글리세롤의
생물전환을 통한 3-HP 생산기술개발 부산대학교
㈜씨티씨바이오 글리세롤로부터 3-HP를 고효율로 생산 할 수 있는 생물촉매 및 경제적 공정의 개발을 목표로
현재까지 유전자 확보 ,특허출원, 논문발표및 배양 공정 기술 개발 중


<연구결과>
1. 3-HP 생산 필수 유전자 라이브러리
   구축
2. dha, aldh 유전자 후보 확보
3. dha, aldh 효소 특성 규명
4. 유전자 재조합 균주의 제작 및 3-HP
   생산 연구진행 중
5. 국내 특허 출원 1건
6. 학회 발표 : 국내 1건, 해외 2건
7. 논문 : 해외 2건 본 연구는 산업원천기술개발사업과제의 일환으로 부산대학교 주관연구기관과 참여기업인 당사에서 글리세롤의 생물전환을 통한 3- HP 생산기술개발을 목표로 하여 연구가 진행중임. 현재 해외 특허 회피 유전자를 확보하였으며 재조합균주를 통해 3-HP고효율 생산및 scale-up을 목표로 연구가 진행중에 있음. 국내 특허 1건 해외 논문2건국내외 학회발표 3건등의 결과를 얻고 있음


6. 기타 투자의사결정에 필요한 사항


- 외부자금조달 요약표

[국내조달] (단위 : 천원)
조 달 원 천 기초잔액 신규조달 상환등감소 기말잔액
은           행 17,019,203 4,576,950 6,477,649 15,118,504
보  험  회  사
 
 
 
 
종합금융회사
 
 
 
 
여신전문금융회사
 
 
 
 
상호저축은행
 
 
 
 
기타금융기관
 
 
 
 
금융기관 합계 17,019,203 4,576,950 6,477,649 15,118,504
회사채 (공모)
 
 
 
 
회사채 (사모)
 
 
 
 
유 상 증 자 (공모) 17,066,050
 
 17,066,050
유 상 증 자 (사모)
 
 
 
 
자산유동화 (공모)
 
 
 
 
자산유동화 (사모)
 
 
 
 
기           타
 
 
 
 
자본시장 합계 17,066,050
 
 17,066,050
주주ㆍ임원ㆍ계열회사차입금
 
 
 
 
기           타
 
 
 
 
총           계 34,085,253 4,576,950 6,477,649 32,184,554
 (참  고) 당기 중 회사채 총발행액 공모 : - 백만원

 사모 : - 백만원

 


[해외조달] (단위 : 원)
조 달 원 천 기초잔액 신규조달 상환등감소 기말잔액 비고
금  융  기  관 - - - - -
해외증권(회사채) - - - - -
해외증권(주식등) - - - - -
자 산 유 동 화 - - - - -
기           타 - - - - -
총           계 - - - - -

해당사항 없습니다.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