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II. 사업의 내용
1. 사업의 개요
당사는 LED(Light Emitting Diode) 사업(Package, Module)을 영위(단일사업)하고 있습니다.
가. 사업부문별 요약 재무현황
(단위 : 백만원)
2009년 (2009.01.01∼12.31) LED 사업 부문
매출액 20,956
영업이익 -4,989
매출채권 6,458
재고자산 6,952
유형자산 10,257
※참고사항 : 매출채권,재고자산,유형자산은 대손충당금,감가상각비누계액 등은 평가충당금을 반영한 금액입니다.
나. 사업부문별 현황
당사는 전자부품 제조업체로서 사업부문은 LED 제조(Packaging)로 단일사업부문으로 구성되어있습니다.
1) 산업의 특성
LED(Light Emitting Diode)광원은 p-n 접합 다이오드의 일종으로, 순방향으로 전압이 걸릴 때 단파장광(Monochromatic Light)이 방출되는 현상인 전기발광효과(Electroluminescence)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입니다.
LED는 상당히 오래된 역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1993년 일본의 S.Nakamura가 Sapphire기판에 InGaN발광층을 형성하는 기술을 선보이면서 현재 상용되고 있는 광파워의 Blue LED가 탄생되었고 이를 계기로 RGB혼합비율에 따라 Full Color 및 White Color의 구현이 가능하게 된 것입니다.
특히 White LED의 구현은 빛의 3원색(Red, Green, Blue)혼합에 따른 방법과 Blue소자에 Phosphor(형광체)를 도포시켜 구현하는 두 가지 방법이 주로 적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그 고유의 특성이 지니고 있는 많은 장점들 때문에, Red, Green, Blue Color를 필두로 가전제품의 Display Module, Signal Indicator, 자동차의 Turn Signal, 신호 등으로 채택되어 사용되기 시작하면서, 최근 White Color의 구현이 실현되고부터 소형 LCD Panel의 BLU(Back Light Unit) 광원, 휴대폰의 Flash 광원으로 그 적용 범위가 확대되었고, 2004년 11월 일본 소니사가 백라이트에 빨강(R), 초록(G), 파랑(B) LED를 광원으로 하는 40인치, 46인치 LCD TV을 선보이면서 대형 BLU 광원으로 채택되는 계기가 되었고, 국내에서도 삼성, LG필립스 등 Major급 Display Maker들이 Car Navigation, 노트북 PC, Monitor용 중형 BLU와 특히 2009년부터 대형 LCD TV용 BLU에 LED를 광원으로 채택한 제품(LED TV)이 폭발적인 수요창출로 인하여 향후 LED의 적용 범위는 급속도로 확대될 전망입니다.
《 그림 (1) LED장점과 단점 》
구 분 내 용
장 점 1) 저소비전력, 장수명, 높은 내구성, 취급 편리성, 경량화
2) 우수한 색재현성(NTSC 대비 100% 이상의 색재현 범위 실현 가능)
3) 휴대폰, 자동차, 일반조명, 가전, 전광판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 가능
4) 무수은에 따른 환경 친화성
단 점 1) 낮은 가격경쟁력(휘도당 가격이 높고, LED드라이버의 방열 및 휘도 보정기능 추가로 가격상승)
2) 광학적으로 선명한 단색광을 보여줌으로써 연색성이 나쁨
3) 점광원 형태로 대면 조명 전환 어려움
4) 취약한 열 특성(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LED 휘도 감소 및 색상변화 발생 가능)
『출처 : 산업자원부, 굿모닝신한증권』
《 그림 (2) LED 종류 》
종 류 응용분야
Chip LED
Top LED
Side View LED
Lamp LED
Power LED 휴대폰 Keypad 광원, 가전기기의 인디케이터, 각종 스위치
조명: 일반&장식용, 전자기기 인디케이터, 자동차용 광원
휴대폰, 디지털카메라 등 중소형 LCD Backlight 광원
조명: 일반&장식용, 교통신호등, 간판, 전광판, 자동차 내부등,
손전등
일반조명, 실내외 건축 조명, 손전등, 교통신호, 자동차
『출처 : 푸르덴셜투자증권』
2) 산업의 성장성
LED 산업을 도입기(1997∼2007), 성장기(2008∼2012), 성숙기(2012∼)로 구분하면 2010년는 성장기 시점이 라고 판단된다. 도입기에는 핸드폰이 시장을 주도 했고, 성장기에는 LCD BLU, 자동차, 공공 조명 등의 어플리케이션이 시장을 주도할 것으로 예상된다. 성숙기에는 일반조명이 보편화 될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 시점에는 단순한 기구업체가 아니라 칩/패키징/기구물이 수직 계열화되어 있는 업체가 시장에서 주도권을 확보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그림 (3) LED 시장규모 》
이미지: 조명시장예측
조명시장예측
ⓐ 조명시장
이미지: 조명역사
조명역사
이미지: 조명시장
조명시장
『출처 : Strategies In Light 』
ⓑ LED TV용 LED 패키지 시장전망
이미지: LCD TV용 LED패키지 시장전망
LCD TV용 LED패키지 시장전망
ⓒ 노트북용 LED 패키지 시장 전망
이미지: 노트북용 LED 패키지 시장 전망
노트북용 LED 패키지 시장 전망
ⓓ 자동차용 부문별 조명의 연간 성장률
이미지: 자동차용 부문별 조명의 연간성장률
자동차용 부문별 조명의 연간성장률
3) 경기변동의 특성
휴대폰의 Display Panel이 STN-LCD나 TFT-LCD에 사용되고 Back Light 광원으로 White LED가 적용되는 한, 휴대전화의 수요패턴에 따라 White LED의 신규 수요는 꾸준히 성장해왔습니다. 최근 경기 침체로 인한 휴대폰 수요 감소와 칩 가격의 지속 하락으로 전체 LED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 또한 점진적으로 축소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따라서 시장이 성숙기에 접어들면서 급격한 경기변동에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친환경 및 에너지 절약관련 신규 광원으로 LED 사업이 부각되면서, 고효율&고신뢰성 LED의 사용은 더욱 보편화 되어 기존 조명(형광등,백열전구,할로겐램프 등) 대체 및 LCD TV용 BLU (CCFL 대체), 노트북 PC BLU(CCFL대체) 등에 주로 대체용으로 사용 되면서 일반적인 경기 변동과는 상관없이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2010년은 LED TV 및 노트북 LED 시장 규모의 급상승이 예상됩니다. 높은 초기 가격에도 불구하고 소비자들의 호응을 얻어 성공적으로 시장을 형성한 LED TV는 가격 하락에 힘입어 예상보다 빠른 속도로 점유율을 높여 나갈 것으로 기대됩니다. 또한 당사도 시장 변화에 따라 지속적으로 TV BLU용 LED를 개발, 양산, 설비투자 등 진행하고 있습니다.
4) 시장여건
LED 시장이 다소 과열되어 있으나 올해부터 본격적인 성장기로 진입하게 될 것으로 예상되고 현 단계에서 TV용 LCD BLU,자동차,공공조명 등이 국내시장 성장의 핵심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2010년에는 특히 LCD TV용 BLU, Notebook BLU, 조명의 성장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경기변동, 국가정책, 주요 대기업의 정책에 따라 시장여건의 변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분야별 시장 여건
- LED 칩(Chip) 분야 》
LED 칩 생산 핵심장비인 MOCVD의 공급부족으로 인해 2009년∼2011년 LED 시장은 공급부족세를 경험할 것으로 전망된다.
- 휴대폰 분야 》
휴대폰 시장은 지난 몇 년간 LED의 가장 큰 수요처였으며, 키패드, 외장장식 및 디스플레이 BLU용 LED채용을 꾸준히 증가시키면서 시장 성장을 주도 해왔다. 2010년 이후로는 AM OLED 채택 비중 증가로 인해 LED 채용 비중은 점진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 디스플레이 광원 분야 》
올해 LED 응용분야중 가장 주목을 받고 있는 것은 TV BLU 부문이다. LCD TV 1위 업체인 삼성전자에서 공격적으로 LED BLU 적용 LCD TV(LED TV)를 출시하고 라인업을 대폭 확대하면서 시장 선점을 늘리고 있고, LG전자에서도 공격적으로 라인업을 늘려가고 있는 상황이다. 삼성전자는 엣지형의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CCFL BLU와의 가격 격차를 좁혀나가고 있으며, 이에 따라 LED TV 세트 가격도 빠르게 하락하고 있다. 높은 초기 가격에도 불구 소비자들의 호응을 얻어 성공적으로 시장을 형성한 LED TV는 가격 하락에 힘입어 예상보다 빠른 속도로 점유율을 높여 나갈 것으로 기대되며, 2010년에는 LED TV가 전체 LCD TV 시장의 15%인 2,260만대 규모를 이룰 것으로 전망되며, 2011년경 30%의 침투율을 보이며 5,220만대 수준에 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노트북 시장은 탁월한 절전 능력으로 인한 배터리 수명 연장, 초박막형 디자인의 용이성, CCFL BLU와의 가격 차이 폭의 급격한 감소등에 힘입어 2008년 14%에 머울렀던 LED 침투율은 2009년 56%, 2010년 이후에도 가파른 속도로 증가하여 2011년 90%를 상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일반조명 분야 》
조명용 LED의 경우 기존 광원과의 가격 차이가 쉽게 좁혀지지 않고 있으며, 아직까지 정부의 프로젝트 등에 의지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일반 가정에서 사용되는 조명이 LED로 교체되기 위해서는 가격차이를 소비자들의 허용범위까지 좁혀나가야 할 것이며 열 방출문제의 해결 및 설치의 용이성 확보가 우선되어야 한다. 현재 대다수의 국내 LED 패키징 업체들이 조명 제품을 출시하고 있으며, 꾸준히 광효율 및 가격을 개선해 나가고 있다. 그러나 정부 주도의 일회성 프로젝트 및 해외 고객사로의 SPOT 매출이 주류를 이루고 있어 일반 가정용 조명 매출의 본격적 개화 시기는 빨라야 2010년 하반기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2010년 조명용 LED 수요 전망은 3,016백만달러, 2011년은 4,072백만달러가 예상됩니다.
- 자동차 분야 》
차량용 LED는 전조등 및 미등뿐만 아니라 내부 실내등에서도 활용되고 있으며 디자인의 용이성 및 무게 감소의 장점을 바탕으로 채용 비중이 점점 높아지고 있습니다. 자동차에 장착되는 광원을 모두 LED로 전환하면 약 200∼300개까지 소요될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브레이크 등에 30∼70개, 방향지시등에 4∼30개 내외, 실내 광원으로 60∼70개 수준이 소요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2004년 자동차용 LED 시장은 5억달러에서 2012년에는 15억 2,500만 달러로 전망된다.
《 그림 (4) 국가별 LED 조명 관련 정책 》
국 가 정 책 내 용
미국 NGLIA(Next Generation Lighting Industry Alliance) 발족
- GE, Philips, Osram, Cree외 14개사
- SSL(Solld State Lighting)활성화
- 2020년까지 200lm/W 목표, 세계 조명시장 50% 점유
일본 JLEDS 발족
- 마츠시타전공, 도시바라이텍 외 82개사
- LED 조명 보급활동(최종목표 120lm/W)
- 2010년까지 조명에너지 20% 절감
한국 LED 조명 15/30 보급 프로젝트
- 2015년까지 조명시장의 30%를 LED로 대체(1조 6,000억원 절감)
- 유도등 LED로 대체 '07년부터 시범보급
- 간판 LED로 대체 10년부터 시범보급
EU 2009년까지 회원국에 백열등 판매규제 요청
중국 2010년까지 조명에너지 50% 절감
대만 2009년 정부산하기관 백열전구 사용금지
2010년 백열전구 생산금지
2012년 백열전구 사용금지 추진
호주,캐나다 2010년 이후 백열등 판매규제
『출처 : www.eic.re.kr』
다.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당사가 현재 영위하고 있는 사업의 주된 제품은 정교한 반도체 기술을 바탕으로 LED 광원을 이용한 Side View White LED 및 Top View LED로 Display Back Light 핵심광원입다. Side View LED는 BLU(Back Light Unit)에 장착되어 휴대폰, PDA, 노트북 PC 등의 LCD 구현을 돕는 핵심 광원이며, Top View LED는 조명,노트북 PC LCD BLU, LCD TV BLU 등 중.대형 BLU 적용,자동차용 LED,인테리어조명,실내외 경관조명, 기타 조명용 LED Module 등에 사용되는 제품입니다.
최근에는 휘도가 일반조명 및 TV&노트북용 BLU의 광원 적용에 적합한 고효율&고신뢰성 Top View LED, 기타모듈(Module) 등을 자체 기술력으로 개발 및 매출실현을 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당사는 향후 다양한 제품포트폴리오를 보유, 안정적인 시장확보& Most Popular Product 창출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2) 시장의 특성
(가) 휴대폰용 소형 LCD의 백라이트광원 Side View LED 제품 :
① 주요 적용분야 : 휴대폰, PDA,노트북, 네비게이션등 소형 Display, Decoration조명
② 주요기능 : LED의 Back Light Unit인 BLU에 장착되어 STN 또는 TFT LCD의 후광원 기능
이미지: clip_image002
clip_image002
③ 경쟁상황 :
0.8T Side White LED에 대한 기술 개발 및 양산체계를 구축하여 세계시장을 독점해온 국가는 일본이었고, 국내 여러 분야의 LCD 모듈 업체는 당사가 2002년 개발 착수하여 2003년 시장에 제품을 출시하기전까지 대부분을 일본에서의 수입에 의존하였습니다.
당사는 지속적인 기술 개발을 통하여 고휘도/고수명 백색광원 개발을 2003년초에 성공하면서 부터 초기 시장진입에 성공했으며, 현재 0.4T 초슬림 Side View White LED 개발완료와 더불어 Decoration 조명으로 응용 범위가 확대 됨에 따라 신시장 개척을 위하여 노력하고 있지만, 국내.외 경쟁심화에 따른 판매가격 하락, 시장 성장성 감소, 수익성 악화 등에 따라 당사 신규 투자 및 적극적인 마케팅 등은 향후 시장분석 후 여건에 맞춰 결정 할 예정입니다.
(나) 조명용 Top View LED 제품 :
① 주요 적용분야 : 중.소형 LCD 후광원(TV, 노트북), 채널사인, Light Panel, 생활(건축조명포함)&일반조명, 자동차관련 조명 등 각 종 조명응용분야.
② 주요기능 : 휴대폰, 카메라등 Mobile 전자 제품의 소형 백색 Flash 기능 및 생활조명 광원, 일반조명(실내.외 조명) 광원, LCD TV BLU,노트북 BLU, 가전제품 실내등 광원(냉장고 등), 광고용 채널사인&Light Panel BLU, 자동차 조명(실내등, 전조등,후미등 외) 등 기능.
이미지: top view
top view
③ 경쟁상황 :
Top View LED에 대한 2002년 4Q부터 지속적인 연구개발를 하였고, 2003년 1Q 핵심기술확보 및 개발을 완료하여 제품을 출시하였습니다. 2003년 2Q 양산체계를 구축하여 초기 카메라폰 시장에 진입하였습니다. 2004년부터 세계적으로 카메라& Flash 폰이 급진적으로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면서, 더불어 당사 제품 Flash LED의 수요증가로 생산 및 판매에 획기적으로 기여하여습니다. 또한 현재 친환경&에너지절약 광원으로 LED(세계적 조명시장 흐름이 기존 CCFL, 형광등, 백열전구, 할로겐램프등이 친환경&에너지절약등 사유로 빠른 속도로 LED광원으로 교체 진행 중)가 세계적으로 급부상하면서 기존 휴대폰 카메라 부분품(Flash LED 기능)에서 탈피 급속도로 조명시장, 특히 TV&노트북 BLU 시장으로 확대 적용되고 있는 추세입니다.
3) 시장점유율 등
LED 제조 분야의 경우 국내 사업자별로 규모 및 참여 업체가 달라 정확한 국내 시장규모와 시장점유율 등에 대한 객관적인 자료가 없는 상황입니다. 더구나 동일 시장이라 하더라도 경쟁기업간 정보 미공개로 인해 고객관련 정보를 파악하기가 어렵워 업종 전반에 대한 시장점유율 전체를 확인하기는 어렵습니다. 따라서 당사 매출에 대한 시장점유율을 표시할 수 없습니다.
4) 회사의 경쟁우위 요소
당사는 창사 이래 LED 단일 사업만 해온 LED 패키징 전문기업으로 제품별 전용 LINE化 구축에 따른 생산성 향상, LED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으로 (일반조명, LCD BLU, 차량용 LED, 휴대폰용 LED 등 ) 제품별 포트폴리오 확보 , 특허관련 LICENSE 보유, 계열회사간의 수직계열화 실현에 따른 시장 경쟁력 향상, 부설연구소 운영에 따른 우수한 연구개발 능력 등 입니다.
《 LED Value Chain 》
☞【 (주)더리즈(기술력&전문인력보유 : Chip제조회사) → 루미마이크로(주)(다양한 제품 제조&대량 생산능력 : Package) → 금호전기(주)(브랜드&마케팅능력 : BLU/조명기구 생산 및 판매)&금호HT(자동차용 조명)】
이미지: 수직계열화
수직계열화
5) 조직도
이미지: 루미마이크로(주) 조직도
루미마이크로(주) 조직도
6)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첫째, 조명용 고효율 Power LED 개발 및 양산
LED 광원이 본격적인 조명광원으로 점점 응용분야를 확대 진행됨에 따라 당사는 현재 핵심 기술을 토대로 전문 기술인력 확보 등을 통해 기존 해결과제인 LED 광원 가격 개선, 광 효율 개선 기술 , 백색 LED의 CRI 개선 기술, 백색 LED의 CCT편차 축소 기술, LED 광원의 열 특성 개선 및 발열문제 개선 기술, LED 광원의 대형 모듈화 기술 등을 극복할 수 있는 중.장기적 고휘도 Power LED 개발 계획(3Watt, 5Watt,10Watt급)을 세워 향후에 열릴 조명시장(경관조명,자동차 전조등,가로등 등)에서의 경쟁력 강화를 통한 시장 선점과 매출 성장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둘째, 중대형 LCD BLU 용 고효율, 고신뢰성 백색 LED 개발
LED의 광효율이 크게 개선되면서 중대형 LCD의 BLU광원으로 LED가 적용되기 시작하였으며, 색재연도(NTSC)의 우수, 저소비전력, 디자인 우수성(기존 CCFL BLU두께 대비 BLU 두께를 박막화) 및 친환경적인 장점때문에 10inch이상의 중대형 LCD BLU의 광원으로 LED가 CCFL의 대체 광원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당사는 현재 국내 LCD모듈업체와 함께 Note PC BLU용 백색 LED 개발/공급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2010년 LED TV 등의 본격적 시장 형성으로 기술경쟁력 및 원가경쟁력을 확보할 계획입니다.
2. 주요 제품, 서비스등
당사는 LED제품을 생산 및 판매하고 있습니다. 각 제품별 매출액 및 총 매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백만원, %)
사업부문 품 목 구체적용도 매출액 매출비율
LED 제조 Side View LED 휴대폰 LCD BLU, 조명용 인테리어, 캠코드 BLU 外 510 2.43%
Top View LED 조명,자동차용 조명, 노트북용 BLU 外 16,581 79.12%
Module 조명용 Module 3,080 14.70%
기타 상품매출,기타 매출 785 3.75%
[ 합 계 ]
20,956 100%
글로벌 경기침체 지속으로 인하여 당사 주력 제품인 조명시장 매출의 급감으로 2009년 년간 매출은 2008년 년간 대비 19,616백만원(48.35%)감소한 20,956백만원을 기록 하였습니다. 하지만 2010년부터 Module 판매 확대, LED TV시장 신규 진입 추진, 고부가가치 ITEM 확보 일환으로 Power LED 개발 및 생산,판매 등 시장 경쟁력 강화 정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3. 주요 원재료에 관한 사항
당사 LED 제조의 주요 원재료는 LED CHIP(발광다이오드 칩으로 빛의 생성되는 근원으로 주요 원자재), PHOSPHOR(형광물질), LEAD FRAME(LED 반도체 CHIP이 실장되어 전기신호인 양극(+)과 음극(-)을 외부로부터 연결해 주는 도선(Lead) 역할, LED를 지지하는 역할, LED CHIP을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동시에 빛에너지를 외부로 방출할 수 있도록하는 역할), AU WIRE, EPOXY&SILICON, ZENER DIODE, 기타 TAPING 재료 등으로 구성됩니다. 이중 LED CHIP, PHOSPHOR는 원천특허 문제 등으로 주로 해외구매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나머지 자재는 국내조달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특히 당사는 LED CHIP을 계열회사인 (주)더리즈를 통하여 지속적으로 국산화 실현을 추진 〔2009년 총 CHIP구매 금액 중 (주)더리즈에 대한 당사 구매비율 37%(더리즈 CHIP구매금액/ 총CHIP구매금액 ×100)〕하고 있으며, 향후 핵심부품 해외 의존율 감소와 더불어 장기적인 원가절감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주요 원자재구매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백만원,%)
구 분 2009년 2008년 2007년
금 액 비율 금액 비율 금액 비율
CHIP 6,511 63.63% 28,335 82.87% 10,375 75.68%
Lead Frame外 3,722 36.37% 5,857 17.13% 3,334 24.32%
(소 계) 10,233 100.00% 34,192 100.00% 13,709 100.00%
4. 생산 및 설비에 관한 사항
가. 생산능력 및 생산능력의 산출근거
당사는 국내 자가&임차공장 기준으로 2교대로 작업을 실시하고 있으며, 2009년 년중 라인별 작업일수와 1일 작업시간을 기준으로 " 라인별 UPH×1일작업시간×작업일수"의 방법으로 생산능력을 산출하였습니다. 2009년 년간 생산능력은 생산수량을 기준으로 총 540,000천개(구형장비 매각 및 저부가가치 제품 설비 매각 등으로 CAPA 감소)입니다. 라인별 UPH(Unit Per Hour)는 해당 라인에서의 시간당 최대생산 수량 기준이며, 작업시간은 2교대 기준으로 10시간씩 20시간을 1일 작업시간으로 적용하였습니다. 또한 작업일수는 월 근무평균 근무일수 25일을 적용하였습니다.
나. 생산실적 및 가동률
당사의 2009년 년간 생산실적은 197백만개로 2008년 년간 대비 14백만(7.65%) 증가 하였습니다. 이는 노트북 BLU 임가공(위탁자 명칭은 영업상 기밀사항이라 기재 어려움으로 미기재) 진행에 따른 생산량 증가가 주된 원인으로 분석됩니다. 2009년 평균 가동률은 37%〔년간평균가동률=(년간제품생산수량)/(년간제품생산능력)×100〕집계되었습니다.
다. 생산설비의 현황 등
① 생산설비의 현황
당사는 경기도 용인에 위치한 본사를 포함하여 국내 총 2개 생산공장(본사-용인시 처인구 남사면 북리, 지사-수원시 영통구 원천동 )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수원 지사는 자가건물이나, 용인 본사는 임차 건물입니다. 임차 건물 면적은 약 3,700m2(임대보증금 2억원) 규모입니다. 본 보고서 제출일 현재 생산은 용인 본사 임차공장에서만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지사(수원공장)은 현재 유휴시설 상태이며, 당사 향후 생산 규모 추이 및 본사 임차 만료시 재사용 또는 임대 등 검토 중입니다.
따라서 투자부동산 (4,476,203,962원)과 유형자산 ( 10,256,960,842원)으로 분류되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자산항목 : 유형자산,투자자산 ] (단위 : 백만원 )
사업소 자산
항목 소유
형태 소재지 구분 기 초
장부가액 당기증감 당기
상각 당기말
장부가액 비고
증가 감소
지사 토 지 자가
(등기) 경기 수원 영통구 원천동 362-43외2필지 1,988평방미터 2,071 - - - 2,071 공시지가 :
2,266백만원
지사 건 물 자가
(등기) 수원 면적
3,800평방미터 2,171 - - - 2,171
지사 구축물 소유 수원
23 - - - 23
본사/지사 기계장치 소유 수원
용인
9,987 917 - 3,099 7,805
본사/지사 차량운반구 소유 수원
용인
2 16 16 2 -
본사/지사 공구와
기구 소유 수원
용인
2,094 587 13 826 1,842
본사/지사 비 품 소유 수원
용인
270 97 - 128 239
본사/지사 시설장치 소유 수원
용인
682 15 - 114 583
본사/지사 건설중인
자산 소유 수원
용인
27 454 481 - 0
합 계 17,327 2,086 510 4,169 14,734
② 설비의 신설.매입 계획 등
사업보고서제출일 현재 2010년부터 TV용 LED BLU 시장의 확대 예상에 따라 주요 생산설비의 투자 필요성이 대두될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현재 지속적으로 소규모의 CAPA증설 설비투자는 일어나고 있으며, 대규모 투자는 확정된 사항은 없으나 고객의 동향 및 시장상황에 따라 향후 투자에 대하여 신중하게 검토해 나아갈 예정(관련 사항 발생시 공시사항 준수)입니다.
5. 매출에 관한 사항
가. 매출실적
당사 제품은 공정이 유사한 LED 제품으로 최종 SET업체의 제품사용 기준에 따라 Side View LED(휴대폰 등 소형 LED BLU 적용), Top View LED(조명,노트북 PC LCD BLU, LCD TV BLU 등 중.대형 BLU 적용,자동차용 LED,인테리어조명,실내외 경관조명 외), 기타 매출(2009년부터 본격적으로 진입한 Module, 상품매출 등 )로 내수와 수출로 구성됩니다. 당사 매출의 세부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백만원)
사업
부문 매출
유형 품 목 제8기 년간 제7기 년간 제6기 년간
LED
제조 제품 Side View LED 수 출 242 664 470
내 수 268 389 575
합 계 510 1,053 1,045
Top View LED 수 출 2,585 3,751 4,443
내 수 13,996 33,206 11,122
합 계 16,581 36,957 15,565
기 타
(묘듈,상품외) 수 출 2,370 774 69
내 수 1,495 1,788 175
합 계 3,865 2,562 244
[ 합 계 ] 수 출 5,197 5,189 4,982
내 수 15,759 35,383 11,872
합 계 20,956 40,572 16,854
나. 판매방법 및 조건
국내판매는 직판을 원칙으로 하나 거래처의 이해관계나 성격에 따라 대리점 망을 구축하여 활용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제품의 특성상 기술적인 설명이나 지원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Sample제출, 승인 및 적용단계에 이르기까지 거래 초기에는 당사가 직접 접근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습니다. 납품대금 결제 방식은 주로 매출처의 자산상태에 맞춰 납품후 선수금 진행 및 30일∼ 90일 현금으로 이루어지며, 일부 구매카드 및 전자어음 등으로도 이루어집니다.
해외판매는 접근의 난이성을 감안 지역별, 나라별로 대리점을 체결하여 거점을 확보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국내판매와 마찬가지로 최초 거래시 기술적인 설명이나 고객의 요구사양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대응하고자 중화권, 미주/유럽권, 일본 등에 대응이 가능한 해외영업 조직확보와 직,간접으로 접근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습니다. 결제 조건은 주로 30일 ∼ 90일 T/T, L/C USANCE 등으로 결제됩니다.
다. 판매전략
Side View LED 제품의 공급Chain은 휴대전화 BLU업체->LCM Module조립업체->Phone Maker로 단계적으로 형성되어 있습니다. 기존고객을 유지하는 한편, 대형거래선 확보 추진 및 고객 대응력 강화에 노력하고 있습니다.
Top View LED는 기존 End User로 휴대폰 Maker였으나, 조명&LCD BLU분야로 응용 범위가 점점 넓어지고 있습니다. Top View LED는 공급Chain으로 보면 BLU업체보다는 한 단계 또는 두 단계 상위단계의 업체에 해당됩니다.
그리고 Top View LED가 적용되기 위해서는 먼저 Sample 제출후 Test를 거쳐 최종조명업체의 승인이 있어야 채택이 됩니다. 따라서 국내외 LCD Module, 조명 등의 업체는 물론 Phone Maker들과도 유기적인 접촉을 통하여 완제품 직접판매, 대량 OEM&ODM생산 및 판매 , 대리점 운영 등을 병행하여 시장을 확보해 나가고 있습니다.
6. 수주상황
당사는 통상 일,주,월 단위의 주문서(P/O)로 소량거래를 하고 있어 별도의 수주잔고는 관리하지 않고 있으나, 일정 금액 이상의 수주에 대해서는 수주상황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사업보고서 작성일 현재 계약서 작성 수주잔고는 200억원입니다. 그 세부내역을 보면 화우테크놀러지(주)와 체결한 조명용 LED 장기 제품 매출 계약(수주총액 15,950백만원) ,신니치일렉트로닉디바이스와 형광등용 LED 장기 제품 매출 계약(수주총액 JPY1,458,000,000) 등입니다.
(단위 : 백만원)
품 목 수주처 수주일자 납 기 수주총액 기납품액 수주잔고
금 액 금 액 금 액
LED 제품 화우테크놀러지(주) 2008.06.25 2009.12.31 15,950 15,673 277
LED 제품 신니치일렉트로닉디바이스 2008.12.16 2010.06.30 21,143 1,261 19,724
〔 합 계 〕 38,478 16,934 20,001
※ 참고사항 : 수주총액은 부가가치세 포함 금액입니다.
7. 시장위험과 위험관리
가. 주요 시장위험
당사가 노출된 시장위험은 환율변동에 따른 위험이 있습니다. 당사는 해외고객 등과의 무역거래에서 발생하는 외화수금이 원자재 수입에 의한 외화지출보다 적은 현금흐름을 가지고 있으므로 원화가치 하락에 따른 환차손 발생이 주요 위험이라 할 수 있습니다.
나. 위험관리방식
당사는 불확실한 시장위험을 최소화하여 재무구조의 건전성 및 경영의 안정성 실현을 목표로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환리스크 관리를 위하여 국내외 금융기관와 환리스크 관에 대한 의견을 지속적으로 교류하고 있습니다.
8. 파생상품거래 현황
가. 파생상품 계약 현황
당사는 시설자금 차입관련하여 장기차입금 외환거래에 대한 환위험 회피목적으로 산업은행과 통화스왑계약을 체결하고 있습니다. 당사 KIKO 가입 사실은 없습니다.
당기말 현재 계약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USD,백만원)
구 분 통화스왑계약 장기차입금
계약체결일 또는 차입일 2008.03.20 2008.03.20
만 기 일 2013.03.20 2013.03.20
계약금액 또는 원금 2,500 USD2,467,917.08
나. 파생상품 계약으로 발생한 손익 현황
당사 당기말 현재 파생상품의 평가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USD,백만원)
계 약 처 계 약 액 파생상품
(비유동자산) 파생상품평가이익
(기타포괄손익누계액) 파생상품평가손실
(영업외비용)
산업은행 USD 2,467,917.08 400.8 19.2 252.3
9. 경영상의 주요 계약
당사 자동차 시장 진입을 위해 (주)금호HT오토닉스와 2006년 12월 LED 제조 및 판매계약을 체결 했으며, 또한 White LED 구현에 대한 License를 해외 업체와 체결한 사실이 있습니다.
10. 연구개발활동
가. 연구개발활동의 개요
당사는 고부가가치 LED 신제품 개발, 기술 개발을 통한 원천특허 확보, 신제품 양산전 제품화를 위한 시험생산 및 Test, 기존 제품 Up- Grade 등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주요 연구개발활동은 LED 형광체 연구, Chip 개발 및 설계, LED 구조물 연구, 공정 연구, 신제품 각 종 묘듈 개발 등입니다.
나. 연구개발 담당조직
당사는 연구개발 업무를 전담하는 부설연구소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연구개발 담당조직은 특성평가팀, LED PKG 개발팀, 신규 묘듈 및 기타 LED 응용제품개발팀, 개발관련 자재 구매팀으로 구성되며 인원은 보고서 제출일 현재 12명입니다.
다. 연구개발 비용
회사의 최근 3년간 연구개발 비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백만원)
과 목 제08기 제07기 제06기
원 재 료 비 134 82 119
인 건 비 475 451 354
감 가 상 각 비 95 78 -
위 탁 용 역 비 4 101 5
기 타 215 211 35
연구개발비용 계 925 923 513
회계처리 판매비와 관리비 25 11 -
제조경비 900 912 513
개발비(무형자산) - - -
연구개발비 / 매출액 비율
[연구개발비용계÷당기매출액×100] 4.41% 2.27% 3.05%
라. 연구개발 실적
당사의 최근 3년간 주요 연구개발 실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연 도 내 용
2006년 "리드프레임" 디자인등록증 획득(특허청 등록제0404266호)
"발광다이오드" 디자인등록증 획득 4건
(특허청 등록제30-0410943호, 등록제30-0410942호, 등록제30-0410941호, 등록제30-0410940호)
"자동차용 조명기구" 실용신안등록증 획득
(특허청 등록제20-0413480호)
"발광다이오드" 디자인등록증 획득 6건
(특허청 등록제30-0413743호, 등록제30-0413739호, 등록제30-0413737호, 등록제30-0413742호, 등록제30-0413735호, 등록제30-0413741호)
"빛의 조사각도 조절이 가능한 발광다이오드 모듈" 실용신안등록증 획득
(특허청 등록제20-0421200호)
"발광다이오드" 디자인등록증 획득 3건
(특허청 등록제30-0419278호, 등록제30-0419279호, 등록제30-0419506호)
"발광다이오드" 유사디자인등록증 등록 2건
(특허청 등록제30-0419278호의 유사제01호, 등록제30-0419506호의 유사제01호)
2007년 "발광다이오드" 디자인등록증 획득
(특허청 등록제30-0439162호)
"발광다이오드" 디자인등록증 획득
(특허청 등록제30-0439654호)
"측발광형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조명 장치 및 그 제조방법 " 특허취득(출원번호:10-2006-0001816)
"측면발광을 이용한 전기전자제품의 버튼장치 및 그 제조 방법" 특허취득(출원번호:10-2006-0014450)
"발광다이오드 실장용 플렉시블 금속회로기판 및 그 제조 방법" 특허취득(출원번호:10-2005-0126731)
"잉크 인쇄방식 및 측면발광을 이용한 전기전자제품의 버튼장치 및 제조 방법"(특허청 등록제10-0752517호)
"리드프레임" 디자인등록증 획득
(특허청 등록제30-0458415호)
"발광 다이오드" 디자인등록증 획득
(특허청 등록제30-0458416호)
"발광 다이오드" 디자인등록증 획득
(특허청 등록제30-0472036호)
2008년 "발광 다이오드"디자인등록증 획득
(특허청 등록제30-0480412호)
"색온도 조절이 가능한 백색 LED 장치" 특허취득
(특허청 등록제10-0818162호)
"칩온보드형 발광 다이오드 피키지 및 그것의 제조 방법"
☞ 2008.12. 특허출원
2009년 "엘이디 조명장치 및 그것의 제조 방법"
☞ 2009.09. 특허출원
11. 그 밖에 투자의사결정에 필요한 사항
가. 회사의 상표, 고객관리 정책
당사는 LED 제조 전문기업으로서 다년간 수직적 기술 축적과 더불어 당사 브랜드를 구축하여 왔습니다. 향후 당사 브랜드를 적극 홍보하기 위해 IR/영업부서에서 국내외 전시회 참가하여 독립부스 운영 등 보다 적극적인 홍보활동에 나서고 있습니다.
또한 고객의 다양한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해 고객별 전담 영업조직을 구축하고 있으며 영업(판매) 직원들 마다 관리 고객처를 상시 방문하여 고객의 필요사항을 사전 Check 하고 고객의 요구사항에 맞는 대처로 인해 사전에 다가가는 영업활동을 펼치고 있습니다. 현재 부족한 해외 마케팅도 전문인력 배치 등으로 강화 할 계획입니다.
나. 지적재산권 보유 현황
당사가 영위하는 사업과 관련하여 중요한 특허권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순서 취득일 내 용
1 2004년 08월 "오목렌즈 발광면을 갖는 발광 소자 및 그 제조방법"
--→ 특허취득(특허청 등록제0445666호)
2 2006년 10월 "박막형 발광 다이오드 피키지 및 그 제조 방법
--→ 특허취득(특허청 0634189)
3 2006년 11월 "메탈 PCB를 이용한 다색 발광소자 모듈 및 그 제조방법"
--→ 특허취득(특허청 0643583)
4 2006년 11월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 특허취득(특허청 0643582)
5 2007년 02월 "측면형 세라믹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 특허취득(특허청 0679936)
6 2007년 04월 "색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발광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
--→ 특허취득(특허청 0712876)
7 2007년 04월 "새로운 몰딩 컴파운드에 의한 백색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 특허취득(특허청 0712877)
8 2007년 06월 "금속 재질의 반사면을 형성하는 백색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 특허취득(특허청 0726137)
9 2007년 07월 "측발광형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조명 장치 및 그 제조방법 "
--→ 특허취득(출원번호:10-2006-0001816)
10 2007년 07월 "측면발광을 이용한 전기전자제품의 버튼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특허취득(출원번호:10-2006-0014450)
11 2007년 08월 "발광다이오드 실장용 플렉시블 금속회로기판 및 그 제조 방법" --→ 특허취득(출원번호:10-2005-0126731)
12 2007년 08월 "잉크 인쇄방식 및 측면발광을 이용한 전기전자제품의 버튼장치 및 제조 방법" --→ 특허취득(특허청 등록제10-0752517호)
13 2008년 03월 "색온도 조절이 가능한 백색 LED 장치"
--→ 특허취득(특허청 등록제10-0818162호)
다. 법률/규정/환경관련 등에 의한 규제사항
당사에서 제조하는 LED와 관련된 법령이나 정부의 규제와 관련해서는 해당사항이 없으며 수출관련하여 유해물질 사용과 관련된 규제가 있습니다.
유럽시장은 2006년 7월부터 납(Pb), 수은(Hg), 카드뮴(Cd), 6가 크롬, 브롬계 난연제 물질 2종(PBB 및 PBDE)의 총 6종의 물질이 포함된 전기·전자제품에 대해서 판매를 금지하는 유해물질사용제한지침(RoHS:Restriction Of the use of certain Hazardous Substances)이 시행되고 있습니다.
※ 반도체조명(LED) 국가표준(KS) 제정
산업자원부는 2015년까지 조명시장의 30% 이상을 LED조명으로대체하기 위한 「LED조명 15/30 보급 프로젝트 」를 2007년부터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는 최고 90%까지 전기에너지 절감이 가능하여 차세대 조명으로 각광받는 LED 조명의 개발 및 보급사업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것 입니다.
《 그림 (6) LED 조명 품목별 한국산업규격(KS) 인증 시기》
인증 시작 일정 LED 조명 품목 대체할 조명
2009.03.01 컨버터 내장형 LED 램프 백열전구
2009.03.01 컨버터 외장형 LED 램프 할로겐램프
2009.03.01 LED 비상 유도등기구 비상용 형광등
2009.03.01 매립형 LED 다운라이트 신규 조명
2009.07.01 고정형 LED 등기구 형광등
2009.07.01 이동형 LED 등기구 스탠드 조명
2009.07.01 LED 가로등 나트륨 조명
2009.07.01 LED 보안등 콤팩트 형광램프
2009.07.01 문자간판용 LED 모듈 네온사인
《 그림 (7) 3년간 LED조명 KD 제정 계획》
년 도 추 진 내 용 비 고
2007년 ● 조명용 LED 용어
● 할로겐램프 대체용 LED 램프
● LED 유도등
● LED 비상조명등
● LED 전광판
● LED 조명기구의 열화 및 가속수명 시험방법
● 조명용 백색 LED 및 LED 모듈 안전요구사항
● 조명용 백색 LED 및 LED모듈 성능 시험방법 8종
2008년 ● 국부조명 LED
● 고효율 LED 문자형간판 표준성능
● 자동차 조명용 LED 성능시험방법
● LED 광원의 시각적 능력의 변화여부 평가 방법 4종
2009년 ● LED 가로등
● 형광램프 대체용 LED 램프
● 고효율 LED 재실감지 조명기기 3종
《 그림 (8) LED조명등의 사용촉진을 위한 각국의 법적제도》
국가명 내 용 비 고
호 주 ○ 온실가스 방출을 줄이기 위해 3년 안에 백열등을 모두 에너지 절약형조명기기로 교체, 법적으로 백열전구 판매를 금지(출처:2007.2.21연합뉴스)
미 국 ○ 캘리포니아 건물 에너지 효율 규격 : Title 24('05.10 적용)
- 신축주택 조명의 50%이상은 고효율 조명 사용 규정(40lm/W 사용, 백열등 또는 할로겐은 배제)
○ 캘리포니아 위험성 폐기물의 불법 처분 : Title 22('06.2 적용)
- 형광램프를 위험성 폐기물로 취급(형광램프의 수은)
- 1년 징역 및 $100,000벌금
○ 뉴저지주 의회는 주정부 건물의 조명등을 3년 안에 모두 에너지절약형 조명기기로 바꾸도록 하는 법안을 제출(출처:'07.2.22 중앙일보)